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일반아동부모와 장애아동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양국의 일반아동부모와 장애아동부모 62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해 한국보다 중국의 일반아동부모가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전체적으로 전반적 인식, 지역사회지원 인식,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중국일반부모가 한국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그 중 한국과 중국일반아동의 어머니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비슷한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으나 중국 일반아동의 아버지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 인식, 사회지원인식과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의 세 가지 범주에서 한국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에 대해 한국보다 중국의 장애아동부모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전체적으로 전반적 인식, 지역사회지원 인식,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중국장애부모가 높게 인식하였다. 그 중 중국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 인식, 사회지원인식과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한국보다 높게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중국장애아동의 아버지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 인식,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한국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This study was made on 626 subjects of general children's parents and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figure out their awareness for inclusive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First, the general children's parents in China had more positive awareness for inclusive education than those in Korea. In overall, the general children's parents in China had more awareness than those in Korea in the overal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ocal community's support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n handicapped children. Among them, the general children's parents in Korea and China had a similar level of awareness for inclusive education but the Chinese fathers' awareness for inclusiv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e Korean fathers in three scopes; the overal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ocal community's support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n handicapped children. Second, th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in China had more positive awareness for inclusive education than those in Korea. In overall, the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in China had more awareness than those in Korea in the overal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ocal community's support,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n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n general children. Among them, the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in China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for inclusive eduction than the Korean mothers in the overal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ocal community's support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n normal children, but the Chinese fathers' awareness for inclusiv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e Korean fathers in the overall awareness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n genera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