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 현장에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가 운영된 지 10여 년이 지났으나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실태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가 거의 없어 구체적인 운용 계획이나 제도 수립 등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특수교육 현장에 근무 중인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어떻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와 함께 직무 실행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국적으로 2,497명의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담당학생과 업무 관련 질문 및 세부 직무별 실행도 문항에 응답하였다. 설문 결과,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평균 담당 학생 수는 4~6명으로 주로 정신지체, 자폐성장애, 지체장애를 지원했으며 하루 평균 5~6시간 동안 장애학생을 지원하며, 온라인 교육 방식의 업무관련 연수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배치에 따른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주요 활동을 비교했을 때, 특수학교 소속 보조인력은 등하교 및 교내 이동지원, 교과학습 지원을 꼽았고, 특수학급 소속 보조인력은 주로 통합학급 활동 지원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과정별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활동을 살펴보면, 유치원 과정에서는 행동관리와 개인위생을, 초등학교 과정에서는 교과학습 지원을, 중ㆍ고등학교에서는 행동관리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실행도 측면에서 비교해보면, 항목마다 실행도에 차이가 있기는 하나 일관되게 유급 보조원이 사회복무요원보다 높은 수준으로 직무 실행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 관련 현 주소와 의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Approximately 10 years passed after launching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 fessional system in Korean schools. However, we have little or no information about how they have work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how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execute their supporting practices and how they perceive on their actual practices. This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current job status and their thoughts on how well they implement their supporting tasks. A total of 2,497 paraprofessionals was recruited nationwi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served average number of 4~6 students with disabilities, worked for 7~8 hours a day, and took online courses mostly for their inservice program.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in special school provided mainly in-school moving assistance and academic assistance. Whil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in self-contained class mostly delivered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In terms of grade level of students whom parapro fessional serve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in kindergarten implemented both behavior management and personal care, those in elementary schools largely provided academic assistance, and those in secondary schools often implemented behavior management practices. In job implementation, special education parapro fessionals paid by government had stronger perceptions that they implemented their tasks than those from public service personnel. The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and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as well as the shortcoming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