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nks between the peninsular focus in Chŏng Yagyong’s conceptualisation of Eastern History and his views on the history of the larger region and the division between civilised and barbarian. It argues that the modern academic discourse on late Chosŏn chunghwa/hwa-i sasang has exaggerated the extent to which the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civilization retreated in favour of a cultural understanding, and also the extent to which late Chosŏn intellectuals, Chŏng Yagyong included, negated the division between civilised and barbarian. Civilization and geography were still important, although the perceived markers of the first were slightly altered and the notions of the latter in relation to civilization changed from geography in the sense of place to geography in the sense of topography and climate. Chŏng Yagyong’s geographic understanding of civilization provides an additional layer to the perceived role of Chosŏn as the inheritor and defender chunghwa after the fall of Ming. This was not only performed in lieu of China in the face of barbarian rule on the mainland; such a civilization was root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topography and climate, the peninsula functioning as a middle kingdom in the region in the geographic sense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의 반도 중심적 시각을 화이사상과의 연관 속에서 살피는데 있다. 다산은 東史에 대한 개념규정을 하면서 또 더 넓은 지역의 역사를 바라보면서 반도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조선후기 중화(中華)/화이(華夷) 사상에 관한 현대의 학적 담론이 과장되었음을 입증할 것이다. 조선후기에 문명에 대한 지리적 이해가 문화적 이해에 밀려 후퇴했고 정약용을 포함한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문명과 야만의 분별을 부인했다고 하는데 그 정도가 과장되었다는 것이다. 문명이라고 인지되는 표지가 미세하게 바뀌었고 문명과 관련하여 지리적 용어들이 공간적 의미의 지리에서 지형과 기후라는 의미의 지리로 변했지만 문명과 지리는 여전히 중요했다 문명에 대한 정약용의 지리적 이해는 명의 패망 이후 중화의 계승자이자 수호자로 여겨진 조선의 역할에 한 층을 덧씌운다. 야만족의 지배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중화는 중국본토라는 장소에서 실행된 것만은 아니다. 바로 그 문명은 지리적 의미에서도 그 지역에서 중국(中國 middle kingdom)의 역할을 하던 한반도와 그 지형과 기후에 뿌리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