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정약용이 욕망을 유·무형의 범주에 따라 구분하고 유형과 무형의 욕망 사이에 상호관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정약용은 『심경밀험』과 『맹자요의』에서 몸이 아닌 영체에서 나오는 악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의 해석에 따르면 영체에서 나오는 악이 있다는 정약용의 주장은 명예욕이 몸과 구분되는 발생 근거를 가짐을, 몸의 욕망 대상과는 구분되는 욕망 대상이 있음을의미한다. 즉, 영체에서 나오는 악에 관한 논의는 악행을 저지르는 까닭, 세勢에 관한 정약용의 생각을 함축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영체에서 나온 악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의문들의 해소도 목적으로 한다. 몸과는 다른 발생 근거를 갖는 악이 있다는 정약용의 주장은 선을 행하기어려운 이유가 몸이라는 그의 다른 주장과 모순되어 보인다. 또 정약용의 수양론이 유·무형의 범주로 구분되는 두 악 모두에 효과적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정약용의 발언들로부터 암시되는 몸에서 나오는 욕망과 영체에서 나오는 욕망 사이의관계, 몸에서 나오는 악이 양심의 약화를 매개로 영체에서 나오는 악을조장한다는 관계에 주목할 경우 영체에서 나오는 악에 대해 제기할 수있는 여러 의문들이 해소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In Simgyeongmilheom(心經密驗) and Maengjayoui(孟子要義),Cheong Yagyong insisted that there was a Wrongdoing(惡) which wasnot derived from material body or human disposition(氣質) and criticizedBuddhism and neo-Confucianism which insisted that the natureof human substance(本體) was purely good. At this paper, I argued thatthis Cheong Yagyong’s insistence premised following thinkings: Thefundamental origin of desire for honor was Spiritual Body(靈體) or humansubstance itself which shouldn’t be identified with material body. And objects of desire for honor could not be located on the same positionwith material objects. And this paper also aimed at solving severalproblems rooted from spiritual Wrongdoing. For instance, It seemedthat Cheong Yagyong’s emphasis on spiritual Wrongdoing was inconsistentwith his another argument that the fundamental reason of Wrongdoingwas material body or selfi sh desires for material gain. And it wasalso problematical whether Cheong Yagyong’s self-cultivation theory(修養論) could be efficient remedy for both spiritual type of Wrongdoing and physical type of Wrongdoing. And I insisted that if we focus onrelations which were mediated by mind between selfish desire for nonmaterial objects, we could properly solve those problems lurking aroundthe Cheong Yagyong’s concept of Wrongdoing originated from Spiritual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