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only hypothetically belong to the Altaic language family. The Nanai language is one of the Tunguso-Manchurian languages, which in their turn are viewed by majority of scholars as Altaic ones. From the very time when the languages were classified into language families there exists a hot debate in linguistics about Korean language origin and the nearest relatives. We assert that it is important to start with thorough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with the Tunguso-Manchurian language group in order to prove the origin of the two mentioned languages. The comparison of Korean language with the Japanese one may undoubtedly reveal plenty of common traits. However such common features can not be perfectly used as a convincing argument of two language’s interconnection. On the other hand, if data of some third language of doubtless Altaic origin appears to support coincid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e shall get more reasons to render such coincidences not only as contacts, but obviously as the lexical layer of common Altaic origin. The proposed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ree languages has shown that they have 35 lexical coincidences (including lexemes that belong to the same semantic field in all contrasted languages within M.Swadesh`s list). This analysis is only the first step, and therefore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three language material seems to be very promising.


한국어는 계통이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은 언어이며 지금까지 주로 알타이어파와의 가설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여러 학자에 의해 주장되어 왔다. 비교언어학에서 한 언어의 위치를 증명하는 것은 해당 어파에 확실이 속하다고 믿어지는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그것의 입증 효력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가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의 어휘를 퉁구스-만주어파에 속한 나나이어, 그리고 일본어 두 가지 언어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 예비적인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계통이 밝혀져 있지 않는 만큼 일정한 어휘가 유사하다 하더라도 그저 우연한 일치에 불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입증 효력을 높이기 위해 나나이어 뿐만 아니라 알타이 언어에 속하는 다른 퉁구스-만주어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본 논문에서 어휘와 어휘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를 포함하여 35가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한국어 어휘의 일치를 밝히려는 노력은 앞으로도 여러 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