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960년대를 지배했던 정치사회적 담론과 김승옥 소설의 상관관계를 살핌으로써 김승옥 문학이 갖는 1960년대적인 의미를 새롭게 밝히려는 목적을 갖는다. 특히 당대의 지배담론을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의 담화문, 4․19혁명 선언문의 수사적 특징을 밝힌 후, 이들과 길항하며 일종의 대항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김승옥 소설의 정치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1960년대는 주로 발전주의의 미명 하에 국민의식을 고취하려는 동원체제의 특징을 보인다. 이 시기의 정치담론은 빠른 시일에 ‘근대-성장-발전’을 달성할 것을 촉구하는 국가 주체의 강력한 명령 언어의 형태를 띤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권력의 언어’로 전체주의적 사고를 개인에게 강요하는 효과를 낳는다. 김승옥 소설은 이와 관련해 퇴폐적 내면의 언어와 자유의 담론 을 통해 지배담론과의 역학관계를 형성한다. 「서울 1964년 겨울」(1965)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두 젊은이의 낯설고 기이한 대화는 무의미한 언어를 통해 ‘의미로 충만한’ 공적 지배담론에 대한 대항의 의미를 갖는다.


This paper studies on politics of the 1960s’ litera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vel of Kim Seung-Ok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discourse at that time.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f intertextuality can reveal a new meaning in the novel of 1960s. It serves as a model of public hegemonic discourse in this paper, for example, the implementation of contemporary and symbolically dominant discourse of President Park Chung Hee, and linguistic features of the Declaration of 4.19 revolution. Developmentalism in the 1960s was a national strategy. The features of this period in the political discourse can be summarized at ‘modern-growth-develop ment’.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novel of Kim Seung-Ok, 1964 winter in Seoul embodies a sort of antagonism against them, as a counter discourses. That appears a strange and bizarre conversations. Especially, implications of triviality strategy carries out a kind of resistance, by means of their ‘meaningless’ language against the ‘meaning-full’ public dominant discourse of a strong command of the nation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