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발굴된 조선후기 지례현 향안을 소재로, 당시 지역사회 지배계층의 변화와 지속에 관한 현상을 분석하였다. 조선후기 이래 지역사회에서 문중의 위계는 곧 마을의 위계와 동일시되었으며, 거주자 개개인의 사회적 평판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대조적으로 근대 이후가 되면 사족 문중과 그 후예들이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면서 지배력을 유지하는 사례가 있는 반면, 향리 출신의 가계가 신분차별이 철폐되는 기회를 틈타 사족 문중을 압도하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 한국의 지역사회 구조를 이해하려면 조선후기 사족지배의 양상을 파악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하겠다. 위와 같은 향촌사회 변화를 알려주는 자료 가운데 하나가 바로 향안이다. 향안은 군현 단위에서 사족 가문의 대표자로 인정된 인물을 수록한 명단인데, 조선후기에는 향안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갈등이 벌어졌다. 그리하여 향안에 수록된 인물과 가계를 검토하면 해당 군현의 지배세력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경상북도 김천시로 편입된 옛 지례현에는 조선후기에 2종류의 향안이 만들어졌다. 임진왜란 직후에 향교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향안에 신흥 사족인 의성김씨 인물이 다수 수록된 반면, 전통적인 양반 사족이었던 연안이씨 인물은 이에 반발하여 별도의 향안을 만들었다. 그러나 전통적 사족인 연안이씨 후손 가운데, 거창으로 이주하였다가 지례현으로 돌아온 직강공파 문중은 타 성씨인 의성김씨와 연합함으로써 같은 성씨인 방초정공파 및 충간공파와 반대편에 섰다는 사실을 향안자료에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같은 문중 내에서도 지파가 처한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얼마든지 이합집산이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paper analyzed phenomena about the continuation and changes of the community's ruling class from Hangyan(鄕案) data using Jerye(知禮) Hangyan(鄕案) in Gimcheon, Gyeongsangbuk-do Provinc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local community identified Lineage's social status with the village's that, and it influenced each individual social reputation. Contrastively, the classical scholar family and descendants maintained their control after modern times, and the rural area family got a higher reputation than the classical scholar family using the chance abolishing class discrimination. So the situation of the late of Chosun Dinasty has to be understand to figure out the local community structure in Korea today. It is Hangyan(鄕案) of the materials that implies the process of the above historical change. Hangyan(鄕案) is the list that contains the figures recognized officially as representatives of the classical scholar family in counties and prefectures. For that reason, the process of change in relevant counties and prefectures' the ruling power could be grasped by examining the figures and family finances recorded in Hangyan(鄕案). Two kinds of Hangyan(鄕案) was made in old Jiryehyun transferred to Gimcheon, Gyeongsangbu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mmediatel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Kims from Uiseong family lineage, the new classical scholar family, were registered in Hangyan(鄕案) which was restored by Hyanggyo, and then he Yis from Yeonan family lineage, the existing classical scholar family, made another Hangyan(鄕案), opposing such changes. However, after a branch, Jikkanggong(直講公), among branches in the middle of the Yis from Yeonan family lineage moved to Geochang(居昌) and returned to Jiryehyun, it banded together with the Kims from Uiseong family lineage, and it can be verified that Jikkanggong(直講公) was against Bang- chojeonggong(芳草庭公) and Chungganggong(忠簡公) from Hangyan(鄕案). There is a reason Jikkanggong(直講公) was treated more poorly than other two branches and tried to improve its own social statue by allying with the Kims from Uiseong family lineage. Korean researches about foreigners have a lot of instances that showed all branches in case of the same family maintained the equal social statue. It should be recognized there were possibilities society- economic conditions could cause meeting and parting in the same Lineage via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