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대학의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글쓰기에서 자서전적 자기서사 글쓰기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다양한 서사형식을 통하여 글쓰기의 내용과 형식, 과정중심과 결과중심의 태도 등 통합적 효과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자기서사 글쓰기의 핵심은 ‘서사적 정체성’에 있는데, 파편화된 이야기에 형식미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자기성과 타자성을 통합하고, 변화하는 자기성을 구축할 수 있는 글쓰기의 목표를 실제 수업모델을 통하여 구축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제출한 긴 분량의 텍스트는 성장, 성찰, 관계 서사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수업모델의 진행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사적 형식미학과 내용의 진정성을 결합할 수 있다. 둘째, 긴 글 형태의 글쓰기는 서사적 형식미학을 깊이 있게 구조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셋째, 매체 형식 활용은 글의 의미를 증폭시키며 글쓰기 주체의 개성을 드러내고 독자들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글쓰기의 기술적 측면을 제고할 수 있다. 다섯째, 글쓰기의 기술적 측면을 제고할 수 있다. 여섯째, 피드백 과정에서 작품의 서사구조의 특징에 따라 지도의 강조점이 달라져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autobiographic self-narrative writing in the cultural writing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of colleges and to suggest the method for integrated effects such as contents and forms of writing, process-centered and result-centered attitudes of writing through various narrative forms. While the essence of self-narrative writing is in the ‘narrative identity’, I tried to establish the objective of writing which can integrate selfness and otherness by utilizing a formal aesthetic method to fragmented stories and build up changing selfness through actual class models. A large quantity of texts submitted by stud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narrative forms of growth, introspection, relationship. The positive effects after proceeding with the class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ly, narrative formal aesthetics and the authenticity of contents can be combined. Secondly, a long-text type writing provides the advantage of in-depth structuralization of narrative formal aesthetics. Thirdly, utilization of media form amplifies the meaning of writing, reveals the personality of the writing entity, and enables the communication with readers. Fourthly, it can improve the technical aspects of writing. Fifthly, the emphasis of instruction should b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ructure of the work in the feedback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