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치와 법치 둘 다 정치에 반영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 글의 목적은 인치와 법치를 둘 다 고민했던 플라톤(Platon: B.C. 427-347)의 사유를 재구성하면서 인치와 법치의 본래적 의미를 살펴보고, 인치와 법치를 결합하는 방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플라톤은 『정체(政體: Politeia)』에서 정의에 입각한 폴리스의 모델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철인왕의 통치(哲人統治: philosopher kings)라는 인치를 설파하지만, 『법률(法律: Nomoi)』에서는 철인의 통치에 대한 보완 전략으로 효율적인 법률시스템에 의한 법치를 제시한다. 표면적으로 『정체』와 『법률』은 각각 인치와 법치라는 통치의 기본 모델을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법률』은 인치와 법치를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인치를 법치화하면서 인치를 더욱 더 발전시킨 형태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 주장이라고 볼 수 있다. 철인통치의 법치화란 인치와 법치를 결합하는 것으로, 철인이 법의 강제를 통해 정치인이 되게 하는 수단이자 철인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나아가 인치와 법치를 결합시키는 끈은 교육이다. 뛰어난 자들의 통치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양질의 교육이며, 이를 보완하는 것은 법치이다. 서론(I)에 이어 본문에 해당하는 II장은 법치와 인치에 관련된 플라톤의 사유를 살펴보고 있지만, 『정체』와 『법률』은 물론 그 사이에 집필된『정치가』와 7번째 편지의 내용도 분석하고 있다. 『정치가』에서는 정치체제를 분류하는데 법치라는 기준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며, 7번째 편지는 현실정치에서 플라톤의 좌절과 그에 따른 입장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III장은 『정체』에서 제시된 철인의 통치가 『법률』에서 어떻게 “법치화된 인치”로 변모하게 되는지를 고찰한다. 그 분석은 세 가지 패러독스 중에서 “철인왕의 통치”에 집중된다. 플라톤은 『정체』에서와는 다르게『법률』에서 법치화된 철인통치를 설파한다.


What is the best way that facilitates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in politics? This article will pick out not only the original meaning of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but also the way to combine the different two ruling methods, by reconstructing Plato' thoughts who studied deeply the problem of ruling. Plato shows us rule of person which is the ruling by philosopher's Kings in the Repulic in oder to realize the justice in city, but he provides rule of law als substitute of rule of person in the Laws. The Republic and the Laws seem to show two different models of ruling which are divieded each other. The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lies in which Plato did not divied two models -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s, but integrated these two models in the Laws by institutionalising rule of person through rule of law. The most effectivest tool which would combine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within a political system is the good education that improves our ethical virt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