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자유주의 정치질서 정당성의 이론적 토대가 되어온 사회계약이론의 3난제--‘확인문제’, ‘정당성문제’, ‘번복문제’의 해결을 사회질서의 탐색 및 복구를 통해서 모색해본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크게, 3난제의 적출과정, 사회질서의 탐색 및 복구과정, 3난제의 해결과정으로구성되었다. 논의과정에서 사회계약이론들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은 선별된 4대표이론--홉스(T. Hobbes)의 사회계약이론, 로크(J. Locke)의 사회계약이론, 루소(J.-J. Rousseau)의 (완전)사회계약이론, 롤즈(J. Rawls)의 사회계약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탐색 및 복구된 ‘사회질서’는 사회구성원들이 ‘지속적 사회계약’을 통해 수립․형성하는 사회적 삶의 질서로 드러났다. 3난제는 ‘정치질서’가 그 토대인 사회질서와, 사회구성원들이 ‘사회질서실현의 보호․관리임무’의 위임을 목적으로 ‘정부(통치)계약’을 통하여 수립하는 ‘통치질서’로 구성되는 혼합질서의형식을 가질 때 해결되었다. 3난제의 해결이 시사해주는 바는, 정치질서의 기본 구성내용이사회질서에 토대를 두고, 동시에 정치질서 중의 통치질서가 사회질서실현의 보호․관리를위한 ‘수단’으로 존재할 때 정당화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ssolve the hardly solvable three problems-'verification problem', 'legitimacy problem', 'revocation problem'-n the social contract theories. It is carried through via tracing back and restoring the social order lost in the theories. In extracting the problems and restituting the social order, four representative contract theories--that of Hobbes, that of Locke, that of Rousseau, that of Rawls--are analyzed. Analyses show that the social order is the social members' living order, constituted by those members' continuous contractual commitment to the latter--the commitment that is being made both in their composing and in their invoking the latter--throughout their social life. Solutions to those three problems are only allowable when political order should have its main basis on the social members' living order, while accompanying government's ruling order mandated by the former. The study outcome has the implication that political order can be legitimized when it purposes to secure the realization of social members' living order, while administering the government's ruling order as to be a means to serving this pur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