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정신전력 요인이 전쟁승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전쟁 상황이 서로 달라 객관적 입증이 불가능하며 지수측정값에 대한 해석상의 오류가 발생되기 쉽다. 그래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100명의 코더에게 인식되는 지수 평균값을 합산한 총합 값을 통해 경향성을 보는데 의미를 두었으며, 정신전력 요소별로 분포도를 비교하였다. 본 분석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승리한 전쟁은 인식되는 요소별 지수 총합값이 매우 높은 수치(3510)를 나타내며, 패배한 전쟁 평균보다 상당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승리한 전쟁에 있어서는 정신전력, 사기, 사생관, 결사항전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높은 인식지수를 나타내고, 자만, 방심 요소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신전력 인식지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승리를 보장(황산벌, 마사다) 받는 것이 아니다(즉 전장 환경이 열악하고 병력이 절대 부족 시). 마지막으로 전쟁별 상반되는 2개 요소(국민총화/ 자만, 방심)간 분포도 비교를 통해 승리한 전쟁은 커다란 폭의 차이를 나타내고, 패배한 전쟁은 상반되는 요소간 거리가 좁게 나타났음을 이 논문에서 밝혀내었다.


Purpose of this research to search how spiritual strength has been affecting outcome of war. However, as status quo and military situation differ it is impossible to prove objectively, and to minimize errors on interpretation of index measured value this research was mostly on viewing trend through total value, which is sum of average values which recognized by a hundred people's codes and this searched interrelation between spiritual strength elements. Summary of this analysis result follows. First of all, a war ended with victory showed total index value of each perceptible elements with extremely high value(3510), and there is considerable gap with that's average of defeated war. Second, in a winning war spiritual strength, morale, desperate fighting, thinks on life and death, and most other elements recorded high values whereas conceit, carelessness recorded low. Thirdly, index of spiritual strength perception demonstrating high does not guarantee victory(HwangSan-Bul, Masada). (That is to say, when environment of warfare is poor and force of arms is absolutely lacking) Lastly, through comparison of two contrary aspects on each warfare(national consensus and self-conceit/abstraction) it is proved in this report that victory demonstrated large gap between the two and in defeated warfare that of the two was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