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주민들의 사회화 과정을 통한 사회적 관계를 조명하고 그 속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이 어떠한 것인지를 드러내는데 있다.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는데서 분단은 주민을 계층화 하고 성분의 굴레 속에 개인 삶을 구속시키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하였다. 성분은 가족관계와 사회화 경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인간의 생애를 틀 지우고 상흔을 구조화 하였다. 분단을 구실로 하는 권력의 지배와 제도적 압력, 강력한 국가적 통합 속에서 북한 주민들은 식민형의 사회화를 경험하고 있다. 북한의 가족은 국가주의 가족이다. 가족단위 생활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혁명위업 수행의 한 단위, 사회의 세포로서 국가권력 의지에 복종되어야 하며 결혼, 부부, 자녀관계에 이르기까지 혁명적 담론은 적용된다. 경제난 이후 시장을 중심으로 가족은 국가주의 가족에서 개인주의 가족으로 변화되고 있다. 인민반(주거단지)은 가족단위로 통치하는 국가의 정책을 집행하는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혼합 장으로 집단생활과 개인생활이 공존한다. 직장은 공민의 의무와 권리를 수행하는 단위, 조직생활의 거점이다. 이웃 간에 오랫동안 정주된 생활을 하면서 전통적 상호관계가 유지되는 편이며 관계중심 · 관계의존에 힘쓰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North Korean people’s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ization process. Throughout this process, this research seeks to find out what are the driving force and mechanism. The national division gives influence to the overall social relationship. The social stratification constrains individuals and structures overall social relationship. Moreover, it also operates to demand loyalty from the people. The social stratification consistently impacts to family relationship and life. North Korean people have been experienced colony style society which is made of power domination and robust state integration. We can say that North Korea’s family is highly influenced by the state. The family life does not simply belong to individuals. The family is regarded as a basic social unit for the state. The revolutionary discourses even applied to the various family relationship. However,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 previous family structure was changed into the more individualistic way. We can find co-existence of individual and public life(implementing state’s policy to family) style from the Inminban. The occupation is a center which performs citizen’s right and responsibility. North Koreans usually put their effort to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s and traditional interaction can b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