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학제적 교육이 하나의 화두가 되고 있다. 학제적 교육은 주로 전공분야에서 실천되고 있으나 교양 분야에서도 중요하다. 교양 분야에서 학제적 교육은 전공 분야에서의 학제적 교육을 위한 기본 토양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과학글쓰기 또한 기초교양교과로서 중요한 학제적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과학글쓰기는 학술적 글쓰기가 중심이 되며 대표적인 것이 실험논문이다. 과학글쓰기에서 학제적 교육을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이론적 접근과 내용적 접근, 방법론적 접근이 있다. 이론적인 접근에서는 과학 분야의 학술적 글쓰기의 이론을 중심으로 다른 학문분야의 글쓰기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고 내용적 접근에서는 학문 분야의 글 내용에 대한 차이를 통해 학제적 접근을 유도한다. 그리고 방법론적 접근에서는 교수자를 비롯해 학습자의 팀별 구성을 통해 학습자 간의 학제적 접근을 유도한다. 과학글쓰기 교과는 기본적으로 과학 분야의 학술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하되 다른 학문 분야로의 학술적 글쓰기와 병행해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업은 학술적 글쓰기의 과정적 접근이 이뤄지도록 진행하며, 이론을 응용할 수 있는 사례분석과 실전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과의 운영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전공자간 학제적 논의와 이해를 유도하기 위해 팀별로 과제를 진행하도록 하고 팀은 다른 분야의 전공자와 구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교과 구성과 운영은 과학글쓰기를 통해 안에서 밖으로의 융합과 탈학문적 융합, 교양과 전공의 통합적 융합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The universities in korea are seeking the plan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cultural studies and major field.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is a important cultural study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is a special writing that scientist writes with the scientific method. The distinctive characters of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exist in objectivity of content and conciseness of expression. This distinctive characters make multidisciplinary writing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ossible. In the methods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the academic writing in science there are a theoretical access, a substantial access and a methodical access. The educational effects in science writing are the fusion from the inside out, the transdisciplinary fusion and the fusion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major field. Therefore I can say that the science writing is a good case that makes the real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liberal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