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대구대학교의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을 사례로 하여 ‘공통교양’으로서의 《독서와 토론》과목의 효율성 문제를 강의 경험에 근거하여 재고하고, ‘공통교양’이라는 기본 교양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성취할 수 있는 수업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는 대구대학교에서 나타난 ‘특수성’ 문제가 전국대학의 ‘보편성’ 문제와 별개 것이 아니라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글 읽기는 글쓰기와 토론의 전제 조건이다. 권장도서를 추천하고,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거나, 고전 읽기를 정식 강좌로 개설하여 독서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전국대학은 독서를 통해 교양 교육과 인문학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대학교는 《독서와 토론》강좌를 통해 독서교육을 하였으나, 통합적 ‘교수학습’의 장치 미비로 ‘공통교양’의 기본 목표를 성취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았다. 그동안 《독서와 토론》강좌를 《글쓰기》 강좌의 한 방편으로서 자료 읽기 수준과 주제별 독서로 짧은 글감 읽기 수준의 독서교육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재고하고 ‘주제별 독서’에서 ‘교양 키워드 읽기’로 새로운 《독서와 토론》강좌의 수업 내용을 제안했다. 《독서와 토론》강좌는 주체적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며, 자신이 속한 시공간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타인과 사회와 소통을 위해 지식에 접근하는 태도와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텍스트의 이해 기준이면서 현대 사회 담론의 핵심적 내용으로 교양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교양 키워드 읽기(Reading Cultural Keywords)’를 제안했다. 수업 내용은 문·사·철의 결핍된 부분을 예체능 계열과 공학 계열에서 채우고, 예체능과 공학 계열에서 결핍된 부분을 인문학 및 예체능 계열에서 채울 수 있는 교차방식의 교양 키워드를 수업내용으로 한다. 수업내용을 위해 구체적 제안은 첫째, 30개의 교양 키워드를 개발한다. 둘째, 각 분야(문학, 사학, 철학, 언어학 및 예체능과 공학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교양 키워드의 자문을 구해 30개의 교양 키워드로 채워진 책을 엮는다. 그리고 이러한 수업 내용의 기본 방향으로 《교양 키워드 읽기 및 토론》수업의 15주를 기준으로 수업 내용의 예시를 제안했다.


This study has two aims. The one is to rethink of effectiveness for ‘Reading and Discussion’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Reading and Discussion’, one of the curriculums for the common cultural subjects in Daegu Uni. The another is to seek for a new effective way ‘how to read and discuss’. It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pecial problems in Daegu Uni. and general problems in another Universities in Korea. Reading is a precondition for writing and discussing. To strengthen the reading education, a lot of authorized books are recommended, rea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introduced and curriculum subjects for reading books are opened in the most of the universities. Even though reading edu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Reading and Discussion’ curriculum in Daegu Uni., the institutional inertia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could not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ommon cultural subjects. ‘Reading and Discussion’ has been only another way of ‘writing’ curriculums. Reconsidering several problems caused from reading education which has just read data and short stories according to the topics, we should find out a new way to teach ‘Reading and Discussion’ to solve such problems. So we introduce the new way as not thematic reading but cultural key word reading. The curriculum, ‘Reading and Discussion’ aims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mmon sense about the world and create new ideas. To make this aim more or less easily achieved, we suggest ‘Reading Cultural Key Words’ which is the standard for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enhancement for refinement of modern society's key issues. The curriculum’s content is to teach cultural key words by means of crossover. For example, liberal art courses’ deficiencies are filled with art, music, physical and engineering ones. Also fine arts, physical and engineering ones’ lacks are substituted with liberal arts, fine arts and physical courses. First of all, the specific suggestion for teaching contents is to develop 30 cultural key words. Second, every cultural key words will be written in English. It is considered that English is a world-wide used language. Third, a book with 30 cultural key words will be written by virtue of the experts’ help in each course such as literature, linguistics, history, philosophy, fine arts and engineering. Lastly, based on the book and the contents, the teaching process will be done through reading, discussing and prese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