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역량진단검사 개발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량진단검사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및 논의는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역량진단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인 역량진단검사들의 구성과 형태, 실시현황 등을 파악하고, 검사결과의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여 역량진단검사 활용모형을 제시한다. 이때, 여러 연구에서 강조한 역량진단검사의 궁극적 목표는 역량진단결과를 통해 파악된 학생들의 역량을 대학교육과정을 통해 더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파악하고, 본 연구에서는 역량진단검사의 활용 방안 중에서도 진단검사와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제언한다. 이를 위해 첫째,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 역량진단검사의 현황을 파악한다. 대표적인 해외 역량진단검사로 OECD의 AHELO, 미국의 CLA, 호주의 GSA를 살펴보고, 국내 역량진단검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K-CESA, 숙명여자대학교의 SM-CLA, 성균관대학교의 SCCA, 건양대학교의 핵심역량진단평가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제시한다. 둘째, 역량진단검사의 활용사례 및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체들의 측면에서 역량진단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소개하고, 역량진단검사 활용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의 핵심주체인 대학이 역량진단검사를 교육과정에 반영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와 비교과과정으로 나누어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교과 설계방안으로는 ‘역량교과’와 ‘일반교과’를 통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 비교과 설계방안으로는 특정 역량영역을 개발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예시들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역량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지원 및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여러 주체별로 역량진단검사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과 모형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역량진단검사가 학생들의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대학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량교과 및 일반교과,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통해 학생들의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거나 개발하고자 하는 역량을 심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과의 연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developing competence assessment tool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ut few studies have discussed how to make use of their results. Based on this lack of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plans for use of assessment,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 and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urriculum. First, this study analyzes existing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college students’ competencies in Korea and abroad. It examines AHELO of OECD, CLA of the United States, and GSA of Australia as representative foreign assessments, and K-CESA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M-CLA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CCA of Sungkyunkwan University, and Core Competencies Assessment of Konyang University as Korean competence assessments. Second, it reviews existing application cases and plans of assessments, and proposes diverse plans and an application model through which those involved can make use of the results. Third, it presents plans to design academic-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in which universities can reflect the results of competence assessment. It suggests application plans through ‘competence course’ and ‘ordinary course’ as academic curriculum plans, and extra-curriculum programs to develop particular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