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현대사회에서 인간위기를 포함한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철학적 대안을 메를로 퐁티의 ‘몸의 현상학’에서 찾아 우리 미래의 삶이 자연과의 공생으로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대 베이컨의 유토피아적 과학관과 데카르트의 합리적 전통의 결합으로 누려온 현대 과학기술문명의 혜택사이에 실존주의 철학이 있다. 1990년대 후반 ‘몸’이 인문, 사회과학적 담론의 핵심 키워드로 작용하던 포스트모더니즘의 구도에서 샤르트르와 함께 20세기 몸의 철학으로 새로운 지평을 연 메를로 퐁티의 ‘살 존재론’을 통해 이성중심의 과학주의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근본적으로 한계 지을 수 있는 사유의 단초를 다음과 같이 마련하고자한다. 첫째, 현대 과학기술 문명에 내재된 여러 위험적 징후들을 철학과 과학계의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과학기술 토대위에 오랜 시간 혜택만 누려온 인간이 과연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몸의 철학을 중심으로 찾아보고자 한다. 셋째, 그의 ‘살 존재론’을 근거로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방법이 곧 미래의 우리 삶과 자연과의 공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human life in the future be able to coexist with nature by seeking for a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including human crisis in modern society from Mearleau-Ponty’s ‘phenomenology of the body.’Existentialist philosophy is placed somewhere in the benefits of the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which is enjoyed by the combination of Bacon’s utopian viewpoint of science and Descartes’ rational tradition. Based on ‘the flesh ontology’ of Mearleau-Ponty who opened a new prospect with Sartre through the philosophy of the body in the 20th century, under the post-modernism struc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1990s of which core keyword for the discourse of human and social science was ‘the body’,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a clue of thinking that could clarify the side effect of rationality-oriented scientism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dangerous signs of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ritical view of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circles. Seco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possible for human beings who have merely enjoyed the benefit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a long time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was looked into focusing on Mearleau-Ponty’ phenomenology and body philosophy. Third, based on Mearleau-Ponty’ ‘flesh ontology’, the author argued that cultivating sensitivity for all the living things seems to be the clue for the symbiosis between human life and natur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