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中國陽明學在中晚明所發生的景象之一, 則是從精英到草根的轉化〪。 中國陽明學的這種轉化過程, 主要發生在鄰近政治中心和經濟中心的江右等地區〪。 在明中後期民間宗祠的普遍化趨勢和宗族的民眾化進程中, 各鄉所辦的社學、私塾亦日益以家塾等宗族性的私學組織為載體, 把教化與祭祖結合在一起, 從而使當時的講學活動漸趨草根化〪。“會講”不過是講學的擴大化〪。 “會講”與“講會”, 一個在於“講”, 一個在於“會”, 一個是“以講為學”, 一個是“以會為學”〪。 “會講”的學術性要大於“講會”, 它類似于當下的市民講座, 而“講會”則近似於如今的大眾文化節, 它一般以族會和群會的形式出現〪。 “會”的遊樂性要大於學, “講”的學術性要大於會;“講”的對象相對狹窄, “會”的對象則要寬泛許多. 宗族成了“會”的主要紐帶, 祠堂成了“會”的重要平臺, 族人成了“會”的主要對象, 並且往往是在與祭祖、崇祀等宗族活動的結合當中開展講會活動〪。 而“講”的紐帶主要是師友, 平臺主要是書院, 對象主要是同志, 並且是在與辯學證道等學術活動的結合當中開展講學活動〪。當時王學講會具有以下的特點:一是思想的多元化;二是手段的多樣化;三是對象的族群化;四是空間的流動化;五是時間的自由化;六是立會的規模化;七是結構的層次化;八是教養的生活化;九是活動的娛樂化;十是儀式的宗教化〪。 這十個方面, 又以思想的多元化為軸心〪。



명나라 중기에서 말기에 걸쳐 중국양명학이 발생하게 된 상황 가운데 하나는 엘리트 단계에서 민간화 단계로의 전화과정이다. 중국 양명학에 있어서의 이러한 전화과정은 주로 정치와 경제의 중심인 강우 등의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명 중후기 민간종사의 보편화 추세와 종족의 민중화 진행과정에서 각 향에서 주관하는 사학이나 사숙 또한 나날이 가숙 등과 같은 종족성의 사학조직을 매체로 교화와 조상에게 제사지내는 것을 결합하였으니, 이로부터 당시의 강학활동은 점차적으로 민간화되었다. 그렇다면 회와 강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회강’은 다만 강학의 확대화에 지나지 않다. ‘회강’과 ‘강회’는 하나는 ‘강’에 중점이 있고, 하나는 ‘회’에 중점이 있다. 하나는 ‘강’을 학(學)으로 하고, 하나는 ‘회’를 학으로 한다. 학술면에 있어서는 ‘강회’보다는 ‘회강’의 범위가 크게 할 수 있으니, 이는 오늘날의 시민강좌와 유사하다. 그리고 ‘강회’는 오늘날의 대중문화제와 유사하다 할 수 있으니, 이는 일반적으로 그룹회의의 형식으로 드러난다. 학보다는 ‘회’에 오락성이 많고, 회에 비해 강이 보다 학술성을 띤다고 하겠다. ‘강’의 대상은 상대적으로 좁은 데 비해, ‘회’의 대상은 강보다는 넓다. ‘회’의 주요 연결체는 종족이고, 중요무대는 사당이며, ‘회’의 주요대상은 족인(族人)이다. 또한 제사 같은 종족활동과 결합시켜 강회활동을 전개한다. 이에 비해, ‘강’의 주요 연결체는 사우(師友)이고, 주무대는 서원이며, 주로 동지(同志)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학을 밝히고 도를 증명하는 등 학술활동과 결합되어 강학활동이 전개된다. 당시 전개되었던 왕학강회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사상의 다원화 2. 수단의 다양화 3. 대상의 집단화 4. 강간의 유동화 5. 시간의 자유화 6. 입회의 규모화 7. 구조의 계층화 8. 교양의 생활화 9. 활동의 오락화 10. 의식의 종교화. 이 가운데 중심이 되는 것은 사상의 다원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