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우리 학계와 사회에는 이른바 ‘힐링 바람’이 불고 있다. 그러나 이 ‘힐링 현상’은 타자화, 대상화되어 있으며 서구에서 유입되어온 것이다. 이에 반해 祭文은 우리 전통의 고유 양식이며, ‘자가 치유’의 방식이다. 제문은 가족 혹은 친지나 친구의 죽음으로 인해 생성된 실용문으로 葬禮 혹은 祭禮에서 亡者에게 바치는 글이다. 통상 제문은 망자의 삶을 추모하고 죽음을 애도하며, 죽은 자를 위로하고 남은 자의 아픔과 슬픔을 토로하는 글이라고 한다. 그러나 제문의 대상자인 망자는 사실상 들을 수 없으니 실상은 ‘남은 자의 심리치유를 위한 자기 고백서’인 것이다. 제문에서 말하는 ‘심리치유’라는 것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망자에 대한 ‘빚짐의 解消’이다. 이때 ‘빚’이란 살면서 상대에게 충분하게 대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점들이다. 이는 사실상 모든 죽음에 대해 남은 자들이 갖게 되는 마음의 빚이다. 그러므로 남은 자들은 때늦었지만 일방적인 자기 고백서인 제문을 통해서 그 빚을 조금이나마 갚고 무거운 마음의 짐을 조금 내려놓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첫 번째로 인한 아픔과 슬픔 그리고 남겨진 자신의 한없는 안타까운 처지의 토로, ‘쏟아내기’이다. 마음속의 슬픔과 아픔, 빚짐을 쏟아내고 生者는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물론 이것으로 모든 슬픔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얻게 된다. 결론적으로 제문은 문학과 祭儀가 결합한 동양 고유의 문화양식으로서, 망자에 대한 위로와 생자 스스로에 대한 치유의 정서가 잘 交織된 한 편의 서사이다. 동시에 이는 문학과 생활, 생활과 문학이 잘 교직된 한 편의 서사이기도 하다.


Recently, so-called 'craze for healing' is strongly swiping up the academic circles and society of this country. But the 'phenomenon' is characterized as otherness and reification. And it has been introduced from the West. In contrast, funeral oration is a native form of our tradition and a means of 'self-healing'. Funeral oration is a practical writing devoted to the deceased, whether a family, relative or friend, at the time of funeral rites or rituals. Usually, it is regarded a written memory, condolence or comfort for the dead and at the same time a written expression of the living's pain and grief. However, the writing is impossible to be heard by the dead. In other words, funeral oration is in fact a self-confession for the psychological healing of people left behind the deceased. 'Psychological healing' by funeral oration has two ways. One is the 'resolution of owing' to the deceased. Here, 'owing' refers to situations in which other people poorly treated the deceased when the dead was alive. It is also what all people left behind the dead come to have in mind. For those people, funeral oration is sort of one-sided self-confession, though late in timing. Through the oration, they try to resolve their owing to the deceased and make themselves less burdened. The other is 'revealing' in which people explicitly express their pain and grief about the death and their indefinite heartbreak about themselves as leftovers. After this, the living go back to the reality of life. Of course, they have not yet been completely free from such pain, grief or heartbreak, the living get the state of catharsis. Thus, funeral oration is a native culture of the East that combines literature with rituals. It is also a narrative in which comfort for the deceased and healing for the living are well emotionally interweaved. In that narrative, furthermore, literature and life are well interwea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