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화자의 서술과 초점화에 대한 서사학의 논의를 토대로 요한계시록을 세 개의 서사층위로 구분하고 각 층위를 계시록의 저술 목적인 예언적 권면과 종말 심판 예고와 관련지어 분석한다. 즈네뜨 이후 발, 리몬-케넌, 랜서등의 서사학자들은 종래의 시점 구분에 의문을 제기하고, 누가 말하는가(서술)의 문제를 누가 보는가(초점화)의 문제와 분리하여 다루는데, 이를 서사 층위 분석과 결합하면, 난해한 계시록 본문 해석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계시록의 서사는 요한의 소명과 예언적 권면을 담은 제2층위와 종말 환상 보도를 담은 제3층위의 두 겹으로 구성된다 제2층위 서사에서 요한은 등장인물중 하나이며, 제3층위 서사에 대해서는 이야기 밖에서 서술하는 관찰자의 입장이 된다. 두 층위의 구분은 계시록이 예고하는 종말 심판 과정을 정확히 그려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이야기가 두 겹임에도 불구하고,계시록의 서술자는 ‘나’ 요한 하나로만 나타나기 때문에, 층위 구분에 혼선이일어난다. 이 글은 그 이유를 서술과 초점화의 분리에서 찾는다. 특히 환상보도(제3층위)의 화자가 누구인지 규명하는 것이 문제인데, 제3층위 서사의서술자는-제2층위 서사의 서술자와 같은-제1층위의 공적화자 ‘나’이며, 그서술자가 제2층위의 ‘나’를 ‘초점화자’로 사용하여 새로운 서사층위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터하여 계시록의 본문을 서사층위에 따라 나누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계시록의 서사세계를 하나의 도표로 정리한다. 계시록의 내용을 두 부류로 성격화 하는 ‘큰 책’/‘작은 책’과 두서사층위를 연결해 보면, 계시록의 공시적인 종적 구조가 시간 흐름에 따른횡적 구조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서사층위 분석이 계시록 4:1에 나오는 ‘메타 타우타’의 본문비평 논의에도 빛을 던져줄 수있음을 보인다.


The book of Revelation is composed of three narrative levels,which Genette calls extradiegetic, intradiegetic, and metadiegetic respectively. Because there is no story in the first level, which is extradiegetic, the whole text of Revelation belongs to the two other levels. The intradiegetic narrative is narrated by ‘I’ John, a character in the story, while the vision report in the metadiegetic level is told from outside. Having discussed the theories of Jae-seon Lee, Genette, Bal, Rimmon-Kenan, and Lanser, I argue that the metadiegetic level of Revelation is created by a focalizer,who does not narrate but just lends his/her focus to the public narrator, and show how each level serves the purpose of the book, that is, prophetic exhortation with end-time visions.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that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book is integrated with the horizontal or temporal one so that the narrative level analysis helps understanding the sequence of events in each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