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하나님’이 갖는 함의를 요한이 유독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버지’(πατήρ) 용어를 중심으로 탐색한다. 접근 방법론에 있어서 ‘성서 퍼포먼스 비평’이라는 최근 새로이 일어나고 있는 방법론을 ‘제한적으로’ 적용한다. 요한 내러티브 자체를 1세기 후반에 구연되었거나 구연을 위해 작성된 ‘퍼포머티브 내러티브’로 인식하면서 주로 내러티브 비평적 분석을 다룬다. ‘요한복음의 하나님’에 대한 선도적 내러티브 비평가들(컬페퍼, 톰슨, 톨미, 스티비 등)의 연구들을 비교, 종합, 평가하면서 ‘요한복음의 하나님’이 갖는 함의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들의 연구들에서 미흡하게 다루었던 부분이 요한 내러티브가 갖는 ‘대립과 갈등’이라는 ‘플롯’(Plot)이해였음을 지적하고, 아울러서 요한 내러티브가 갖는 ‘우주적 차원’에 대한 이해를 상기시킨다. 요한복음을 ‘퍼포머티브 내러티브’로 인식하면서 분석한 결과는 ‘요한복음의 하나님’은 모든 사람을 ‘하나님(아버지)의 자녀들’이라는 친밀한 사랑의 관계성에로 부르는 분이시며, 동시에 1세기 후반 당시 로마황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거짓 하나님들’에 대하여 그들과 같은 수준이 아니라 차원이 다르게 높은 수준에서 그들을 향해 ‘아니오’(No)를 선언하시는 분으로 정리된다. 본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퍼포먼스 비평적 한 관점에서 ‘아버지’ 용어의 내러티브 전반에 걸친 반복적 사용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수사적 효과를 간략히 정리한다. 결론에서는 요한 내러티브에 대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여겨지는 하나의 ‘퍼포먼스 시나리오’를 제시해 보면서, ‘요한복음의 하나님’에 대한 위의 퍼포머티브-내러티브 분석의 결과가 어떻게 요한공동체로 불리는 ‘집합적 청중’에게 구체적으로 경험되었을 것인지에 대해 다양하면서도 적법한 여러 가지 해석의 가능성들을 시사한다.


This study illuminates the God of the Gospel of John focusing on John’s term “Father”(πατήρ) from a performative-narrative critical perspectiv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is an emerging discipline in the New Testament Studies that seriously considers the 1st century oral/aural context of the writings in the New Testament. This study tries to show how a narrative critical study relates with a performance critical study in a way to introduc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From a performative-narrative critical perspective, John’s God appears the One who wants to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all human beings as “Father” while at the same time, the One who says “No” to all the “false gods” including the Roman emperor(s)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CE. John’s God says “No” to these “false fathers” not disputing with them at the same earthly level but standing in a much higher cosmic dimension. At the ending part of the Body of this paper, the author briefly adds the rhetorical effects of John’s term “Father” from a performance critical viewpoint in order to show how a performance critical perspective can make a narrative understanding more lively. A performance scenario of the Gospel of John proposed at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ndicates that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e rhetorical impacts of John’s term ‘Father’ can be possible and legitimate according to the social locations of individual community members and/or the ideal “collective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