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버지의 음주수준이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부모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621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음주수준이 증가할수록 자녀들의 우울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애착, 모애착,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나 아버지의 음주로 인한영향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만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와 다르게 지역사회 대상으로 아버지 음주수준에 따른 자녀들의 정신건강에 주목하였고, 고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환경요인을 밝혔다는 데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음주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발달을 위한 부모-자녀 관계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자아존중감 강화 프로그램, 음주예방교육을 통한 예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음주자 가정의 자녀들만을 대상으로만 하는 개입이 아니라, 일반 성인과 아동ㆍ청소년을 포함한 다양한 대상층을 대상으로 음주폐해예방교육이 확대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self-esteem and parent attachment on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alcohol use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children. A total of 621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15 age in middle school andcommunity child center in Jeonbuk province. Collected data were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father's drinking group showed more higher depression and lowerself-esteem, parent attachment than the father's non-drinking group. Second, Self-esteem,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moderated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lcohol use and depression ofadolescent childr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steem showedas protection factors on the negative effect of father's drinking. Based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ental health promotion for thechildren of drinkers in our community should be discussed to reducethe level of depression and increase the level of self-esteem, parentattachment. Policy-makers and mental health specialists should needto strengthen protectiv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