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고전소설 연구와, 페미니즘적인 문제의식을 경유한 정신분석학의 생산적인 접합 가능성을 ‘조선후기 장편소설 속의 가족 로망스’라는 한 지점을 중심으로 모색해 보는 것을 그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1장에서는 양자 사이의 생산적인 접합 가능성과 가능지점들을 간략하게 검토해 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정신분석학을 상이한 역사와 문화에 열려 있는, 변형과 개조가 가능한 이론체계로 파악하자고 제안했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가족 로망스라는, 가부장적 가족구조 속에서 분리와 거세를 받아들인 신경증적 주체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환상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비록 가족 로망스란 용어가 근대의 부르주아 가족구조를 분석하는 과정 중에 도출된 용어이긴 하지만, 그것은 조선후기 장편소설의 가족갈등에 내재하는 리비도적 애증관계를 분석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 글에서 필자는 가족 로망스를 ‘가부장적 가족구조 내부에 잠재된 리비도적 애증관계에 기반한 환상적 드라마’라는 보다 폭넓은 의미로 재개념화해 보았는데, 바로 이와 같은 개인적이고도 집단적인 환상과의 공명을 통해 현실에 대한 주체의 생생한 경험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폭넓게 재개념화된 가족 로망스는 국가와 가족의 유비적 상동성을 바탕으로 구조화된 가부장적 국가-가족질서의 분석에도 원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조선후기의 가부장적 가족구조 하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가족 로망스적 갈등의 몇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우선 1절에서는 조선후기의 가부장적 직계확대가족의 내적 구조를 가부장을 정점으로 하는 상징적 가족과 어머니를 정점으로 하는 상상적 가족의 중층적인 복합체로 파악해 보았다. 가부장적 가문 이데올로기라는 상징적인 법과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상상적인 애착이라는 상호 길항하는 두 힘의 접합을 통해 가부장적 직계확대가족은 삐거덕거리며 재생산되는데, 이러한 접합은 특히 재혼이나 축첩 등으로 인해 이질적인 가족구성이 이루어질 때 그 심각한 모순을 드러낸다. 지금까지 가부장제의 유지와 재생산을 위해 기능해왔던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상상적 애착이 가부장적 가족구조를 파괴하는 맹목적인 힘으로 돌변하는 것이다. 특히 계후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계모와 전실자식 간의 갈등을 핵심적인 갈등으로 서사화하고 있는 <창선감의록>은 이와 같은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고 있는 작품으로서, 이 소설의 작가는 이와 같은 균열을 효(孝)라는 지상의 도덕률을 통해 봉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봉합으로 인해 그와 같은 적대적인 환상을 촉발하는 실재적 원인은 은폐되고 만다. 다음으로 이 장의 2절에서는 아버지의 이름과 그것의 실제 사이의 간극이라는 가족 로망스적 딜레마를 문제삼고 있는 경우를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실제의 아버지와 아버지의 이름 사이의 간극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사씨남정기>의 대답은 현실의 아버지가 아니라 상징적인 이름으로서의 아버지에게 충성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물론 그것은, <창선감의록>과 마찬가지로, 가부장적 질서에 내재하는 적대적 균열(실재)을 교씨와 같은 환상적인 사물에게 치환시킴으로써 얻어진 미봉일 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ily romance in Korean classic novel to connect the study of Korean classic novel, psychoanalysis, and feminism. Family romance is term coined by Freud as a name for fantasies whereby the subject imagines that his relationship to his parents has been modified. In this study it makes appropriation to analyze the patriarchal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follows: The fantastic drama that bases on love and hatred under the patriarchal family. First the one family romance of many represents crack between the symbolic family and imaginary family that is composite in the patriarchal family. The symbolic family is composed with father as the central figure, but the imaginary family is composed with mother as the central figure. Both sides bond in the patriarchal family is split when a different mother come into family for a second marriage or concubine. The imaginary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ren change suddenly destructive power that divided the patriarchal family. Many Korean classic novel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cluding <chang-sun-gam-i- rok(彰善感義錄)> is made the kernel of a question. In the next place the other family romance represents crack between 'the name of father' and actual father. The answer of <Sa-ssi-nam-jeong-gi(謝氏南征記)> which raised a such question is this: Be loyal to father as a symbol of patriarchal ideal not father as a 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ily romance in Korean classic novel to connect the study of Korean classic novel, psychoanalysis, and feminism. Family romance is term coined by Freud as a name for fantasies whereby the subject imagines that his relationship to his parents has been modified. In this study it makes appropriation to analyze the patriarchal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follows: The fantastic drama that bases on love and hatred under the patriarchal family. First the one family romance of many represents crack between the symbolic family and imaginary family that is composite in the patriarchal family. The symbolic family is composed with father as the central figure, but the imaginary family is composed with mother as the central figure. Both sides bond in the patriarchal family is split when a different mother come into family for a second marriage or concubine. The imaginary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ren change suddenly destructive power that divided the patriarchal family. Many Korean classic novel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cluding <chang-sun-gam-i- rok(彰善感義錄)> is made the kernel of a question. In the next place the other family romance represents crack between 'the name of father' and actual father. The answer of <Sa-ssi-nam-jeong-gi(謝氏南征記)> which raised a such question is this: Be loyal to father as a symbol of patriarchal ideal not father as a 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