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우선 19세기 영국 채식주의의 이념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채식주의와 종교적 세계와의 접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당대 채식주의자의 육식의 거부와 채식의 옹호에는 핍박받는 비인간 동물과 인간에 대한 도덕적 감수성과 공감의 태도가 담겨 있다. 영국의 채식주의자는 육식=남성=타자 지배=타락한 인간으로 등식화하면서, 채식을 통한 순수한 인간 본성의 회복을 추구했다. 그들은 인간의 시원적인 순수성을 회복할 때에 비로소 사회에 만연한 억압과 착취의 굴레에서 인간과 동물이 벗어날 수 있으며, 모든 생명체들이 서로 화해하고 공존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글은 19세기 영국 채식주의의 문헌과 간디의 저서를 중심으로 채식주의의 도덕적·정치적·금욕주의적 성격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성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wo aspects of 19th century British vegetarianism. First is idea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social effects of the vegetarianism, Second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vegetarianism and religion. While rejecting eating meats and advocating the justification of eating vegetables, the vegetarianism showed moral sensibility and attitude of empathy with persecuted nonhuman animals and humans. British vegetarians formulated the equation of eating meat = male = domination over other livings = fallen human nature, and sought for the recovery of pure human nature and the reform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of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ey thought vegetarian diet can reduce a violent and destructive human tendency and ultimately reconcile and cooperate all of livings each other.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cultural context and ideas of the 19th century British ??vegetarianism and its social influence, and the ascetic world view of the vegetar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