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법원은 지난해 ‘근로계약 갱신에 대한 정당한 기대권 법리’를 선고하였는데, 이 법리는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관계 존속 보호를 위한 법리로 필자는 이에 대하여 지지한다. 필자는 그 법리에 대해 이론적 해명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 갱신기대권의 근거는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한 근로조건법정주의 제한을 받는 신뢰책임이다. 둘째, 그 기대권을 인정하는 확정된 판결 또는 판정이나 사용자의 의사표시의 존재를 정지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권리로, 그 조건의 성취시 기간제 근로자는 이를 완전한 권리로서 취득한다. 셋째, 갱신된 기간이 만료되더라도 사용자가 기간 만료를 주장하는 것은 금반언의 법리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고 법원이나 노동위도 갱신된 기간 만료로 인한 소의 이익의 부존재를 이유로 각하판결을 해서는 안 되며, 예외적인 그 기대권의 제한사유가 없는 한 그 주장이 차단되는 시기는 정규직 근로자의 정년이 도래할 때까지이다. 넷째, 근로자는 그 기대권에 관한 구체적 사정을 입증하여 법원 등으로부터 그 기대권의 존재를 인정받아야 하고, 사용자는 근로계약 갱신 거절의 정당성을 입증해야 한다.


Last year, Korean Supreme Court declared a legal principle of “Reasonable Right of Fixed-term Employees to Expectation for Labor contract Renewal”, a principle that protects the fixed-term employees and their continuation of employment relationship, and I agree with the Court. In order to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inciple,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following:Firstly, the right of fixed-term employees to expect labor contract renewal is based on confidence liability ruled by the general principle that working conditions should be stipulated by law, a principle which protects the human dignity. Secondly, the right to the expectation for labor contract renewal is acquired as a complete one only if the condition is met, which is either a confirmed judicial decision or judgment, or a manifestation of intention from the employer, recognizing the right. Thirdly, even if the renewed term of the employee is over, the employer can not claim the expiration of the term due to estoppel. Also, the Court or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s can not dismiss the case only because there is no interest in such legal action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renewed term, and such claim of the employer must be excluded till retiring age of regular employees, unless there are exceptional reasons to limit such expectation right. Lastly, the employee must prove specific circumstances showing the existence of the right to the expectation for labor contract renewal, in order to make such right be recognized by either a judicial decision or judgement, whereas the employer must prove the legitimacy of his denial of labor contract renew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