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사자율연구모임은 교직문화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교사자율연구모임은 승진점수나 경제적 보상과 상관없이 교사로서의 자기 성장에 대한 욕구로 모임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사자율연구모임 4단체를 선정하여 모임이 어떻게 구성되었고, 어떤 동기에 의해 어떤 교사들이 참여하고 있는지 질적연구를 통해 밝혀보았다. 각 단체의 구성배경은 좋은 수업과 생활지도를 방해하는 구조적 요인들과 무기력한 자신을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교사 개인의 참여 동기는 첫째, 학교 내에서의 단절적 문화 둘째, 전문성이 부족한 자기 자신 발견 셋째, 학생들과의 소통 욕구 넷째, 공동체를 통한 전문가로서의 성장 욕구로 밝혀졌다. 교사자율연구모임은 학교가 관료주의 모델에서 공동체 모델로 변모될 수 있는 가능성과 아래로부터의 개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자율연구모임이 갖는 이론적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an Teacher's Culture Be Changed in Korea: Teachers' Active Study Group's Organizational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MotiveKim, Seongcheon(Sungkyunkwan University)Yang, Jungho(Sungkyunkwan University)Recently, many people focus on how to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situation, Teachers' Active Study Group(TASG) can show a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culture of teaching profession in that this group is formed for the sake of self-fulfilling as a teacher regardless of promotion or incentive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group with four selected Teachers' Active Study Groups, using qualitative research. Every four groups are organized to eliminate structural factors which obstruct good education and students' guidance, and to get over difficulties in taking good lessons and controlling students. We found that participation motives of each teacher are consist of absent of Teachers' Active Research Group in school, discovery of incompetent self-recognition, need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and desire to be a professional in the learning community.Teachers' Active Study Groups imply possibile changes that schools can be organized from bureaucratic model to communal model with bottom-up reform. The theoretical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eachers' Active Study Group a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