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교사상과 사제 관계에 대한 교육사적 고찰의 일환으로 조선전기 교사상과 사제 관계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교사상과 관련하여서는 조선 조정의 민간교사에 대한 표창 기준, 관학 교관에 대한 사대부들의 기대를 검토하였고, 사제 관계에 대해서는 조선정부의 정표(旌表) 정책과 교화서(敎化書)인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중 「사생도」(師生圖)의 내용, 그리고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사제 관계에 대한 입장을 보여주는 문헌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교사의 포상에서 교육활동에 대한 헌신과 교육 성과가 중시되었다는 점과 함께 교관의 자질로서 경명(經明)이라는 경전에 대한 지도 역량과 행수(行修)라는 도덕성이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행수는 교사의 일상적 도덕성까지 포괄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매우 충족하기 어려운 자질이었다. 한편 조선전기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스승에 대한 제자의 헌신과 복종이 미덕으로 간주되었다. 조선조정에서 스승을 부모와 같이 대하며 상례(喪禮)를 치른 제자들을 포상하였고, 「사생도」에서도 기본적으로 스승에 대한 제자의 복종과 헌신을 미덕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당시 사제 관계를 제자의 헌신과 복종을 강조하는 위계적 관계로만 이해할 수는 없다. 「사생도」에는 제자를 예우하는 스승의 사례 또한 포함하여 스승에게도 제자 예우의 태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런 입장은 조선전기 대표적 성리학자인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게도 엿보인다. 퇴계는 스승이 제자에게 엄격함을 보이되 가혹해서는 안 된다는 교사 행동의 기준을 언급하였다. 또한 율곡은 제자가 스승의 가르침을 그대로 수용하지 말고 의문이 있으면 이를 질문하거나 제자가 판단해야 한다는 점과, 스승과의 정(情)의 심천(深淺-정도)에 따라 사에 대한 예우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스승이 제자의 질문과 비판을 수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점과 제자에게 무조건적 헌신을 요구할 수 없다는 점을 함축하고 있었다. 조선조정과 사대부들은 교사와 학생 관계를 군사부일체로 표현되는 위계적 관계만이 아니라, 교사와 생도 사이의 활발한 소통 가능성을 열어 두고자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ctations for teachers in the Chosun Dynasty, and the criteria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Chosun government commended the Confucian teachers who were committed to Confucian instruc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produced good result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gwageo, 科擧). The qualities of an instructor at a government school (gwanhak, 官學) were a knowledge of the classics in terms of intellectual achievement in Confucianism, and proper conduct in terms of their moral character. The moral character of teachers was considered far more important than their Confucian knowledge. There are two aspects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bedience by the students and respectful discipline by the teachers. According to Iryunhaengsildo, obedience and commitment to the teacher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virtues. But the teacher’s respectful treatment of the students was also presented as a virtue. Toegye and Yulgok, there 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un Dynasty, also emphasized the students’ commitment to their teacher and the teacher’s respect for his students. Toegye insisted that the teachers should not be cruel. Meanwhile, Yulgok emphasized that the quality of a teacher’s education could be judged by the quality of his students. Thi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Chosun Dynasty is not only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ut also an equal relationship, with some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