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재학생 중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교과목별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 연구이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비실험 연구 상황에서 비교 집단과 처치 집단 간 동등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교 내 학생 간 매칭을 시도하였다. 매칭된 집단만을 활용하여 2수준 다층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한 방과후학교 참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 수학, 영어 과목 모두에서 방과후학교에 참여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와 수학의 경우 효과 추정치가 10점 이상이었으며, 영어의 경우 7점 정도였다. 본 연구 결과 학습기회를 높이고, 공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국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방과후학교 정책은 기초학력 미달 학생집단에서도 긍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한 방과후학교의 긍정적 효과는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교육기회의 균등화를 위한 전략으로 방과후학교의 적극적인 권장 및 활성화 정책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끝으로 주목할 점은 방과후학교 참여에 대한 임의효과가 세 과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는 특정 학교에서는 방과후학교의 운영 및 결과가 좀 더 성공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임의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를 성공적으로 시행 중인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강조되어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by low-performing students in high school. Focusing on students who scored at the below-basic level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the study compares those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rograms in each subject (reading, mathematics, and English) with students who did not within the same school. With a newly constructed matched data set, level two multilevel model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articipation based on 2010 NAEA scaled scor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ubject-relevant afterschool programs outperformed the students who did not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On average,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cored more than 10 points higher in reading and mathematics, and about 7 points higher in English compared to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Random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ubjects, indicat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s varied across schools. This study provided scientific evidence that afterschool programs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for low-performing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a further in-depth study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of schools that successfully developed and implemented afterschool programs particularly designed for low-performing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