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의 ‘사회통합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사업’을 통해 지원을 받고 있는 전국 자율형 사립고, 외고・국제고의 사회통합전형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통합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효능감, 자아존중감, 그리고 진로성숙도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 학교의 사회통합전형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별 프로그램 영역조사를 통해 사회통합지원 프로그램을 객관적으로 범주화한 후, 이를 기초로 사회통합지원 프로그램 유형별 참여 정도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영역조사 결과, 사회통합지원 프로그램은 크게 기초학력 및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 정서 및 학교생활적응 프로그램, 그리고 진로 및 진학 프로그램의 3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사회통합지원 프로그램 유형별 효과 측면에서는 기초학력 및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사회통합전형 학생들의 학업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정서 및 학교생활적응 프로그램의 참여 개수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진로 및 진학 프로그램의 참여 개수가 많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 및 학업효능감, 자아존중감, 그리고 진로성숙도가 사회통합전형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는 사회통합전형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학업효능감이나 자아존중감과 같은 변인들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적응 변인들을 중심으로 사회통합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improvement in academic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by participating the social integration support programs. The students observed were who have entered into autonomous private, foreign language & international high schools through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all of which are suppor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is study, we examined what kinds of the social integration support programs are offered by these schools and we categorized the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we analysed the effects of each social integration support program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Findings/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integration support programs were categorized in three areas: Basic standard skills & learn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s, affective & school adjustment programs, and career & academic consulting programs. We found that the support programs improved academic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For example, the level of students’ self-esteem was higher as they participated in the affective & school adjustment programs. Also,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affect school adjustment of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students, wherea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esteem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school adjustment. Value: This study focused on socially marginalized students’ school adjustment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integration support programs on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variables, such as academic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