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현행 창의성 담론을 점검하고 앞으로 창의성 담론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지를 철학적으로 탐구한 것이다. 현재 창의성은 시대가 요구하는 주요 덕목이며 현대 교육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중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창의성 담론의 주류 세력은 인지론적인 관점으로 창의성을 풀어내는 심리학적 접근의 창의성이다. 그러나 이 담론은 인간의 창의성을 새로운 사고의 창안과 그에 따른 사고력의 향상에 집중한 나머지 존재의 새로운 생성을 담보하는 철학적 창의성의 영역을 태생적으로 놓치는 우를 범했다. 이런 철학적 창의성 개념은 화이트헤드가 구상한 유기체 철학에서 중심축을 구성한다. 그가 보기에 인간은 유기체로서 근원적으로 창의적 존재이며, 이전의 현실적 존재를 버리고 새로운 현실적 존재로 거듭 태어나는 합생의 주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보면, 교육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학생의 합생 여건을 어떻게 교육적으로 중재할 것인가에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urrent discourse on creativity and reshape its meaning scheme philosophically. Currently, creativity is the main virtue demanded by society, as well as a topic of great interest and controversy in contemporary educational studie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urrent discourse on creativity has been dominated by the psychological approach to creativity that defines creativity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However, this approach tends to focus on human creativity in terms of the creation of new ideas and the growth of the ability to think that follows; as a result, it errs in inherently overlooking the domain of philosophical creativity which deals with the creation of new entities. Thu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creativity is best exemplified by espousing the pivotal idea of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According to Whitehead, humans as organisms, are fundamentally Homo creatio, subjects of concrescence that discard previous actual entities and are reborn as new actual entities. By engaging Whitehead’s take on creativity, this study asserts that the field of education in seeking to expand the role of creativity training needs to appreciate the value of including philosophical creativit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role of the educator in employing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to affect student’s concrescenc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