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재 한국 개신교는 급변하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교육 등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에 특별한 역할이나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비리나 부패문제에 개신교인들이 많이 연관되어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의 개신교가 일반국민들로부터 존경을 받기는커녕 비윤리적인 행태와 부패문제로 사회적으로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통계자료가 제시되고 있다. 더불어 많은 개신교인들이 자신이 개신교인이라는 사실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낄 정도이기에, 오랫동안 개신교가 한국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 완전히 퇴색되고 말았다. 그러기에 종교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국가발전을 위해서도 개신교의 갱신과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대교회 정신의 회복은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회와 개신교 지도자들의 부패와 부정적 시각에 관한 현황을 보다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교회 내부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한 실증분석으로 한국 개신교가 처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recently have not played an important role dealing with social problems in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They also have not mad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Korean society. Instead, they have received negative remarks because of the frequent reports from the mass media that Christian leaders are involved in notorious corruption affairs. Futhermore, some statistics present that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receive negative impressions from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ir unethical behaviors and financial corruptions. In addition, many Korean Protestants feel shame that they are Protestants. Thus, for social integr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religious dimension, the renewal of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become an urgent issue.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negative views o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nd the corruption of the church leaders, this study carries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inside church members. As a result, this empirical analysis presents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blem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