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Every individual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background, when he or she listens to preaching. It is the reason why Korean preachers have to analyze their Korean congregations, who share many same cultural characteristics. Some psychologists and scholars, like Richard Nisbett, Peter Anderson and the Hofstedes, have done researches of comparison between cultures. The research results distinguish the Koreans are more like communal than individual and tend to form solidarity characteristics. These cultural and socio-psychological preferences have made Korean listeners feel safe and comfortable when they belong to a group and multiple relationships. The Korean congregation also used to identify the substances of something and recognize destinies as being not in control, whereas Westerners identify objects by their shape and the future as being more in control. The other specific perceptual tendencies indicate Koreans language highly contextual. The immediate homile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preaching from these experimental observation are: Korean congregations rarely engage argument or debate, easily endow authority to preacher, perceive their church as network of people like another family, tend to relate events, use highly contextual language, and prefer using experience more than logical principles. In this regard, preaching that evokes listeners’ experience, connect individuals with others so that get tied as a solid group, and made of narrative type of delivery will be more efficient. To apply above approaches into Korean preaching in order to equip Korean preachers, verbal and nonberval communication methods needed to be explored. Nonverbal communications are related to emotions, and both influence listeners for positive feelings and enable them participate what preacher says. The Koreans’ communal characteristics take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As Geert Hofstede’s work shows, Korean listeners are a collective group of people, and have avoidance of showing themselves and uncertainty at the same time. This collectivistic “we-ness” is powerful among Korean people as symbols of intimacy, closeness, acceptance, etc. Korean preachers clearly benefit from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gregation because Christian churches have been a community since the beginning of Christianity. To build up church as a community Korean preacher should consider verbal communication: narrative preaching and storytelling form human beings into close groups and can build trust between speaker and listeners. Preacher in this respect re-tell some biblical and traditional stories, along with develop their storytelling skill by learning styles and forms. Then emotional speaking can be next step to make listeners get involved. An eschatological vision also can be evoked by storytelling. In case of nonverbal ways of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should be counted as one of the main goals of preaching.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gesture, tonality, or attitudes can create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they hear among congregation, and its achieving starts to build community. The preacher’s good character should be expressed by proper emotional expres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establishes trust between preacher and congregation.


설교는 개인적인 영역이기도 하지만 청자가 속한 그룹의 문화적이고 사회심리적인 배경에 따라 전달의 영향을 받는다. 한국은 문화적으로 또 사회심리적으로 단일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교회 역시 이런 맥락에서 이해를 해야 하며 설교자는 청자의 문화적이고 심리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한국의 청중은 문화적으로 경험과 관계망 속에서 자신을 파악하고 그룹에 속해 있어야 편안함을 느끼며 동일한 본질을 파악하는 데 익숙해서 권위를 쉽게 인정하는 편이다. 언어적으로도 서구에 비해 관계에 보다 고착된 형태를 보이는데 한국의 설교는 이러한 특성에 기인해서 설교자의 권위에 편승한 원활한 수용이 있었다. 따라서 문화적 분석을 통해 설교자는 논리보다는 경험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 설교와 관계를 드러내는 설교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의 접근에서 사용될 설교의 방식은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모두가 효과적인데 비언어적 방식은 설교에서 감정의 전달 등을 통해 설교자의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고 수용자의 입장에서는 적극적으로 듣기에 동참하게 한다. 이때 한국인의 공동체 지향적인 특성이 강하게 개입되는데 또 다른 연구결과는 공동체적인 한국인의 특성이 모호하지 않은 표현을 선호하고 다른 사람과 동질성을 유지하는“우리”개념으로 인해서 설교자의 비언어적인 친밀감 유도가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공동체를 상정한“우리”개념은 전통적으로 교회 역시 중요시했던 덕목인데 언어적, 비언어적 설교를 통해 교회의 공동체성을 고양할 수 있다. 언어적 접근으로는 청자의 의식속에 관계망을 형성하는 설화체 설교와 이야기 설교가 청자를 하나의 공동체로 끌어 모으는 기능을 하며 한국적인 상황에서 설교자는 이를 위해 전통적인 이야기 방식과 성경 안의 이야기들을 적극적으로 설교에 활용해야 한다. 아울러 논리적이기 보다 감정적인 표현으로 개인의 경험에 청자를 동참시켜야 하고 이를 통해 한국적 정서에 깊숙한 종말론적 시각을 되살려야 한다. 친밀감 있는 언어가 이 경우 효과적이다. 비언어적 접근은 동일화(identification)와 이에 기반한 공동체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설교자의 각종 표현과 청자와의 정서적인 친밀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교자의 건전한 인격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