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인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현상학적 연구 중에서 콜라이찌(Colaizzi) 방법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해 내었다. 연구 참여자 표집방법은경계선성격장애로 판정 받은 사람 중 연구에 동의한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12월 20일까지 약 6개월이며, 방법은 연구 참여에동의한 3명에게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콜라이찌의 분석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의 진술에서 드러난 주제들로부터 8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받고 싶은 강한 욕구로 애착대상을 찾아다녔다. 둘째, 애착대상이 부모와 같은 존재라서원시적 이상화가 이루어졌고, 셋째, 이상화대상을 놓치지 않으려는 생각에 대상을 통제하려는 행동이 나타났다. 넷째, 이상화대상들의 표현을 왜곡 시켰다. 다섯째, 왜곡된 인지는 과도한 의심을 이끌게 되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등 불안정한 심리를 표출하게 만들었다. 여섯째,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이상화대상들이 경계선성격장애인들을 떠나려는 행동에 버림받는 두려움을 겪게 되었다. 일곱째, 이상화대상은 잃어버릴 수 없는 절대적 대상이기 때문에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덟째, 이상화대상과의 관계상실로 마음의 공허함을 경험했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들 즉 대상을찾고, 이상화하고, 통제하려고 하고, 버림받지 않으려는 두려움과, 관심을 받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들은 이상화대상이 부모대상의 표상이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그래서 그들이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들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종합하여 보면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이상화대상에 대한 부적응적인특징들은 유아기 때 형성된 결함을 성인기에 드러내는 유아적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은 부모를 찾는 행동이었고,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l aspec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laizzi’s method, one of phenomenological methods to focu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human experien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ata of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July 3, 2015, to December 20, 2015, and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is study categorized 8 theme clusters from themes exposed by statemen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went looking for attachment objects by strong desire loved by objects. Secondly, the Borderline Patients primitively idealized attachment objects, because they considered that the Idealized Objects and their parents was one and the same person.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y tried to control the Idealized Objects not to get separated from them. Fourthly, the Borderline Patients distorted the messages of the Idealized Objects. Fifthly, Because of their distorted perception, they did not readily trust the Idealized Objects, forgot themselves in anger, and expressed their insecure mind. Sixthly, the Idealized Objects suffering from stress tried to leave them and they were seized with fear to be left out from the Idealized Objects. Seventhly,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craved affection and attention from the Idealized Objects. Eighthly, they felt hollow because they lost relationship of the Idealized Object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that the Idealized Objects of the Borderline Patients were the image of their parents,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oward the Idealized Objects were infant dependence on their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