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재 평가론의 위상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자 통시적인 연구사를 중심으로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전망과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어 교재 이론에서의 교재 평가론의 지위와 사적(史的) 전개 과정을 짚어보고, 이어 한국어 교재에 관련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한국어 교재 평가론의 본격적인 논의가 형성되기 전의 교재 평가 관련 논의는 발간 및 개정 교재의 사례나 서문 등 정보 기록을 살펴보는 방법을 취하였고, 한국어 교재론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기 시작한 약 1990년대 후반부터는 연구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흐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초기의 한국어 교재 평가와 관련된 논의가 교재 유형론의 관점에서 교재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2005년을 넘어서면서 교재의 제작보다는 기존의 교재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서의 선정 기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는 다른 외국어와는 달리 정책적 측면이 고려되어 있고 따라서 교재의 선정을 넘어 인증 또는 추천 등의 제도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더욱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적용 가능성이 높은 평가 기준 마련을 위해 앞으로도 깊이 있는 논의가 더욱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argument and to investigate the diachronic flow of KFL/KSL material evaluation in KFL/KSL research. For this, historical review was gone over issues regarding general tendency of foreign language materials research, subsequently case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s foreign or second language carried out. In the early part, researches of KFL material evaluation were discussed as a part of ‘material typology discourse’ for analyzing and to taking implications from existing materials to make better and new versions. However, on the occasion of rising ‘material selection discourse’ around year 2005, another approaches of KFL material evaluation began for seeking reasonable and proper criteria of pre-published materials. In case of Korean, the conditions of learning and teaching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foreign languages for its political(of governmental policy) features, therefore it requires more in-depth discussion such as material approval, certification, recomme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