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소재 과학고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의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이 측정되었고, 행복의 하위요인으로는 학업 및 성적, 가족 및 친지,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가치관 및 신념, 건강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행복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의 수준에 따라 행복의 하위요인인 학업 및 성적, 가족 및 친지, 삶의 목적 성취, 경제력, 대인관계, 가치관 및 신념, 건강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교사와 학부모 교육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Resilience Questionnaire and Happiness Inventory were administered by 129 students. The Resilience Questionnaire consist of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behavior and positive affect. The results are following : In the first study, 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personal behavior and subfactors of happiness. Our second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personal behavior and all of subfactors of happiness. The third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 -regulation and happiness. And the last stud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score of resiliency and happiness. The possible reasons for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light of previous studies. Also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stud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