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창의성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심리학에서 보다 이른 시기에 체계적으로 미시적으로 연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Guiford가 1949년에 창의성의 중요성을 언급한 이후로 여러 심리학자 혹은 교육심리학자들 사이에서 창의성은 점차로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 주류(mainstream) 심리학의 입장에서 연구되거나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창의성이라고 하는 구인이 인간의 마음에 대한 근간을 이루는 이론들, 예를 들면 지식의 표상, 지각, 기억에 대한 이론들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 지 탐색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교수-학습을 위한 전략적 기술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로서 지각과 기억의 과정 측면에서 창의성을 살펴보고 정보처리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이 창의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지 전통적인 인지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심리적 기제의 바탕위에 창의성을 진작하기 위한 몇가지 구체적인 전략을 함께 논의하였다.


Creativity is the field studied by many psychologists and educational psychologist over long period of time. Since Guilford pointed out in 1949 that creativity should be the future research agenda psychologists should take, it became one of the prominent area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However, one of important issues is creativity has not dealt with rather mainstream psychological theories. Mainstream psychology are dealing with areas such as representation, perception, memory. The field of creativity seldom shows interests on these mainstream areas. Therefore, current paper attempted to connect creativity with those mainstream psychological area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ers based on those 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theories and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