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종교개혁자 Calvin에게 인간의 의지는 그리스도의 특별한 구속이 없이는 완 전한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왜곡되었다. 한편 스스로 의롭다 함을 얻는데 있어서 인간의 의지는 오염되었으나, 모든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은총에서 비롯된 탁월한 이성이 역사와 문명을 풍요롭게 한다. Calvin은 그런 세속적인 산물들도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작품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타락 이후 불신자들에게도 남아있을 만큼의 형상을 심어 놓으신 분은 하나님이시기 때문 이다. 그런 의미에서 Calvin의 인간관은 영혼과 물질을 나누었던 헬라적 이원 론과 구별된다. 그는 그리스도 밖에 있는 일반적 학문의 가치를 받아들였고, 그것을 부인하는 자들은 곧 성령을 부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배타적 구원의 교리 이외에, 세속적 문화와 학문에 대한 그의 이와 같은 관점과 학문적 방법 론은 오늘 21세기 목회 신학에 중요한 메시지를 던진다. 그는 신학의 견고함을 확신하였고, 일반 학문들의 탁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열려 있었다.


Some people misread John Calvin, a reformer and theologian, as pessimistic just because he regards human as totally depraved. Calvin declares about total corruption of human after the Fall, but he is not always pessimistic toward human cultures or academic accomplishments. People are different from beasts because God continues to give them distinguished reason and wisdom. Remnants of God’s image even after the Fall still dignify human existence. Calvin willingl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academic properties of his time outside theology such as philosophy, mathematics and law: he actively engages them for his theological works. He also cherishes all kinds of people because of inherent images of God within. He also keeps a consistent and holistic perspective of Christian life on earth with balanced hope of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