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완벽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언제든지 자신이 세워 놓은 기준에 절대로 도달 하지 못하며 자신이나 자신의 행동이 누구를 절대로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감 정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을 격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들은 하나님은 자신이 절대로 기쁘시게 할 수 없는 하나님이기에 그에 대한 의심과 반항심과 분노의 감정이 그를 지배한다. 따라서 이들을 하나님의 온전한 형상으로 회복시키려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찾아오신 하나 님의 은혜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연구자는 완벽성에 효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완벽성이 높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250명에게 다차원적 완벽성 척도 검사 를 실시하고 완벽성 점수가 상위 30%이내이면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를 희망 하는 학생 40명을 선정한 후, 이들을 2개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 내에서 실 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10명씩 배치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 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약 7개월에 걸쳐 매주 2-3회씩 방과 후에 총 20 회를 실시하였는데, 매 회기별 소요시간은 90분-120분이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차원적 완벽성 척도 (MPS)를 사용하여 양적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사전-사후 반복측정(repeated measure) 분산분석을 하였다. 질적 분 석은 각 회기별로 행동 및 정서변화의 관찰과 집단과정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완벽성이 높은 청소년들의‘완벽성’의 정도 를 감소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한 완벽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각 회기별 정서 및 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완벽성이 높은 청소년들의 평가 및 반응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완벽성 감소를 위한 대안으로 개발한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 및 교회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dolescents with high perfectionism tend to feel guilty and humble themselves too much because they are obsessed by the feeling that they cannot reach the goal set by themselves and are unable to satisfy anyone with their behaviors. Also, they consider God as the Being that can never be pleased by them, so the feelings of doubts, disobedience and even hostility against God always overwhelm them, Therefore, in order for them to be recovered to the image of God as originally created, they should receive God’s grace given to them in Jesus Christ. To satisfy these needs,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decrease the perfectionism of adolescents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applied at churches and schools. The targets of the main research were the 40 second-grade middle-school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test. They were selected from the high 30 percentile of perfectionism among the second-graders. The 40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0 students each. The 20 student group was divided again into two groups,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0 students a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after school for 7 months 2 to 3 times per week over 20 sessions, each session lasting 90 to 120 minut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was chosen as a quantitative analytical tool and a pre-post repeated dispersion measure was made to compare the average differences of each group.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observation of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f the participants and the group process evaluation were carried out each session. The study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perfectionism of the adolescents with high perfectionism. Second, the adolescents with high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emotion and behavior during each session. Third, the evalu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adolescents with high perfectionism to the group art therapy was very positive. Therefore, this program which was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lower the perfectionism of the adolescents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applied at churches and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