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왔지만 최근에 극대화된 기독교에 대한 교회 밖의 다각적이고 맹렬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교회는 지금까지의 성장주의의 뒷전에 부차적 사안으로 밀려난 교회 본연의 정체성의 회복에 대한 요구를 안팎으로 듣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본질이 회복되기 위한 일환으로 치유설교를 통해 목회돌봄이 주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적인 설교의 방향과 가능성을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몇 가지로 논의하였다. 현대정신분석인 대상관계이론은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조명해줄 수 있는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인간의 병리현상에 대해 기독교적인 관점과 맥락을 같이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다. 교회는 회중에게 위로와 격려, 인생의 재충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설교를 통해 상처 입은 자아들이 치유될 수 있는 중간대상이 되어주어야 한다. 설교는 본질적으로 성경말씀을 근거로 하되, 현대를 힘겹게 살아가는 회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다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따라서 설교가 회중을 치유하고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의 삶의 자리에 대한 이해와 심리 상태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신학적인 가능성을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다양한 대상관계이론의 심리학적 통찰에서 성찰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In the meantime, Korean churches have grown and developed but are facing multifaceted and fierce criticism outside the churches about Christianity maximized in recent years. Thus, churches are requested to recover the church’s original identity laid aside as a secondary issue by Developmentism until now from inside and outside. Therefore, as part to recover the true nature of churches, pastoral care should be given through healing serm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rections and possibility of healing sermons in several ways in the context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 way of modern psychoanalysis, is capable of shedding a light on a relation between humans and the God, and furthermore shares the perspectives and contexts with the Christianity regarding the human pathology. It is necessary that churches provide consolation, encouragement and an opportunity to refuel life to the congregation and heal selves through a sermon as a transitional object. Sermons, based upon the Bible, need to deal with more realistic problems that can gain the sympathy from the congregation living hard lives in the modern times. In other words, an understanding of their lives and psychological status is required for the healing through sermons. This study proposed the important theological possibility that can bring therapeutic effects around the elements that can reflectively accept in psychological insight of Kohut’s self psychology and various object relations the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