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인의 레저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고독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 13개 주요 지역에서 55세 이상의 남녀 6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에서 2012년 1월 현재 레저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남녀 33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설문지 내용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모형 검증을 위한 상관 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레저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레저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고독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노인의 레저기능과 사회적 지지는 고도감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고독감 감소는 생활 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저 기능은 생활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변인 간의 관계는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높은 수준의 레저기능이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고독감 감소에 대한 매개효과를 통해 생활만족의 향상을 이끌 수 있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be a potent influence of leisure functioning understood as perceived freedom in leisure and social support to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male and female elderly aged over 55.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team selected sample population who were currently being involved with some sort of leisure participations from 13 different major cities and area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of study was a set of 330 questionnaires that administered carefully to the subjects. The primary statistics used for the study wer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prior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ho were currently involved in leisure participation were influencing to life satisfaction. The leisure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ver to the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However, no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ver to life satisfaction was found in this study. Within limitations, this study proved that higher degree of leisure participation in later life span could give a positive influence over life satisfaction and the loneliness variable found to be a mediating role i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functioning of the Korean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