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축구에 참여하는 여자대학생들의 진지한 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성취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5년 서울지역에서 축구에 참여하는 여자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240부의 설문을 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회수결과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17부의 설문을 제외한 총 223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 참여 여대생의 진지한 여가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외모와 스포츠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축구 참여 여대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아성취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축구 참여 여대생의 진지한 여가는 자아성취감의 목적이상실현, 능력발휘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축구를 진지한 여가로 참여하는 여대생들은 진지한 여가를 통해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성취감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진지한 여가는 여대생들의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성취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rious leisure,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achievement for female college soccer participa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 total of 223 surveys were collected from female college soccer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SPSS 20.0.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l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0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factors of serious leisure among female college soccer participants had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sports competence of physical self-concept. Second, one of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health, appearance, sports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 on self-achievement. Third, one of the sub-factors of serious leisure, personal effort and unique ethos had positive effect on self-achievement. In conclusion, serious leisur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elps female college students to form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and gives them an opportunity to achieve self-re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