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사회에 적합한 선(禪)으로서 원불교 선을 이해하고자 할 때 원불교 훈련법으로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교단초기부터 훈련은‘선‘이란 용어와 동일시되어 사용되었으며, 훈련의 역동성이 원불교 선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무시선은 원불교 선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무시선과 훈련법의 관계를 원리와 특징을 통하여 살펴보면, 훈련법이 원불교 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의미 짓는 것임이 분명해진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선으로서 훈련법에 대한 발전방향은 세 가지로 모색된다. 첫째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의 관계이해를 통한 개선이다. 정기훈련법와 상시훈련법이 서로 도움이 되고 바탕이 되므로, 정기와 상시의 조화와 정기훈련기간의 강화, 재해석등이 되어야 한다. 둘째 무시선의 단계를 기초로 한 훈련법의 모색이다. 무시선의 공부단계에 기초하여 정기훈련과목을 단계화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셋째 훈련과목별 특성화이다. 정시선(靜時禪)에 편중된 선공부가 아니라 정기훈련과목 전체를 동일한 비중으로 특성화하자는 것이다. 시대화·대중화하는 선, 활선(活禪)이라는 원불교선의 의미를 드러내고 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공부로서의 훈련법을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시켜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for So˘n to be suitable for modern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Won-Buddhism’s So˘n needs to be approach through the Won-Buddhism’s Dharmas of Training (The Dharma of Fixed-Term Training and Daily Training). The term‘ Training’has been similarly used as the term‘ S˘on’from the early days of Won-Buddhism Order; due to the fact that the dynamics of Training exhibits the significance of Won-Buddhism’s S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harma of Timeless So˘n and the Dharmas of Training being examined through its principles and distinct features; it is explicit that the Dharmas of Training specifically defines and signifies Won-Buddhism’s S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harmas of Training through‘ S˘on’is sought in three ways.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hension between the correlation of Fixed-Term Training and Daily Training. Since Fixed-Term Training and Daily Training assist and ground each other; the harmony between Fixed-Term and Daily, and the reinforcement and reinterpretation of the length of Fixed-Term Training is necessary. Secondly, finding the ‘Dharma of Training’on the basis of the steps of Timeless So˘n. Based on the practicing steps of Timeless So˘n, efforts to systematize and putting in to phases of the subjects of fixed-term training needs to be made. Thirdly, specialization in the subjects of fixed-term training. Emphasis and specialization toward the entire fixed-term training subjects is necessary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ranquil So˘n. So˘n that is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and approachable to the public;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revitalize the active So˘n of Won-Buddhism, efforts to develop variety of‘ dharmas of training’through the practice of S˘on is desi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