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엘리아데는“종교를 망각해버린 근대인은 그 신성함(聖性)을 예술속에서 구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종교신학자 폴 틸리히도『문화의 신학(Die Theologie der Kultur)』을 통해, 종교적인 내실을 체험하는 사람이 구상화한 온갖 문화 창조물을 유형적, 역사철학적으로 분류하며,“종교가 결실을 맺은 문화란 본래 어떠한 것인지, 실제 종교 쪽에서 스케치해 보는”개념을 제시하였다. 근대에 활발해진 <종교> 비판에 대해 종교 개념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한 그들은 <예술과 종교>라는 테마를“예술과 무제약적으로 실재인 것”이라고 말하며, 기성 종교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예술을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예술의 해방과 기성종교로부터 종교를 해방하는 것이 근대 종교 문화의 특징이라고 보았다. 폴 틸리히와 동시대를 살다 간 일본의 종교철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 1889-1961)는“전반적으로 사원(寺院)종교가 쇠퇴해가는 오늘날, 그것을 대신할 것은 미의 전당을 세우고, 그것을 매개로 눈에 호소하며 도(道)를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미의 종교」론을 독자적으로 전개하였다. 근대화라는 문명사적 대격변기를 목격한 아시아의 종교철학자가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근대적인 삶의 방식, 서양문화와 동양문화,그리고 제국주의적인 내셔널리즘과 그에 대립하는 휴머니즘의 경계선에 서서 이질적인 것의 대립을 초극하기 위한 궁극적인 고찰과 실천을종교와 예술을 통해 추구하고자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이러한 야나기의「미의 종교」론 형성과정을 통해 종교와 예술이 갖는오늘날의 의미를 통찰해 봄으로써 종교 이해의 장을 넓혀보고자 한다.


“The modern men, who have lost religion, are seeking sacredness in the arts,”said Eliade. A religious theologian, Paul Tillich, presented the concepts of the cultural artifacts that are formed in the religiously matured moments that are created by the artists who experience religious sacredness. He categorized them into historic and philosophical frames in his book “A Theology of Culture (Die Theologie der Kultur)”. In the moderncriticism of religion, the two scholars who emphasized the need to expand the concept of religion,provided the traditional theme of“ arts and religion”with a new concept“, arts and the unconstrained and tangible”. The main features of modern religious culturesthey found are twofold: 1) the liberation of arts from the limited boundary of the arts that established religions tolerate; 2) the liberation of religion from the established religions. Religious philosopher Yanagi Muneyoshi (1889-1961), who lived the same era with Tillich purported “the religion of beauty”by emphasizing the provision of concrete “Tao”actualized in the halls of beauty, which could replace the disappearing temple-based religions back in Japan. In the transformational period of modernization in Asia, religious philosophers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different streams such as the east vs. west cultures, imperial nationalism vs. humanism, and the traditional way of life vs. the modern way of life. Especially, they endeavored examining religions and arts, and tried to participate in reality through arts and religi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oday’s meaning of religion and art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that Muneyoshi’s went through to form his theory on “the religion of beau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