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효(元曉, 617-686)는 한국 및 중국, 일본에서도 불교학을 연구하는데 대단히 큰 비중을 두는 인물이다. 이는 그만큼 원효의 정신이 그 당시는 물론이고 현대에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가 남긴 수많은 경·율·논·소들이 가지는 불교학적 가치도 중요하겠지만, 진정한 대승보살도를 행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를 인정받고있다. 이러한 고승의 모습과 정신을 한 폭의 그림으로 남기고 있는데이를 진영(眞影)이라 한다. 『동국이상국집』등에는 원효의 진영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이 남아있지만, 당시의 진영이 현재까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양식이 어떠한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다행히도 일본 교토 고산사(京都高山寺)에는 현존하는 원효진영 중에서 최고(最古)의것이 남아있어 그 면모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는 600여년 전에 이모(移模)한 것으로 지금까지도 온전히 전해지고 있어 국내외 원효학과 미술사적인 면에서 양식과 재료, 그리고 문화재복원의 연구에 큰 영향을줄 유물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현지를 방문하여 원효진영을 친견하고 이를 현상모사 복원하여 국내에 영구 소장하게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한 개인의 역량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국가적차원의 지원이 절실하였고, 이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담당해 주었다. 따라서 필자가 현상모사 복원한 원효진영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게 되었고, 고승진영의 양식 및 재료학적인 측면에서 고증,정리가 되었다.


The Korean Buddhist monk, Wonhyo(元曉, 617-680) was a heavy weight in the field of Buddhism study in Korea, China and Japan.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spirit of Wonhyo had great influence on his contemporaries and even today. Aside from the many volumes of teachings, Su-tra(經), Vinaya(律), Shastra(論) that he penned, he is also recognized as a true devotee of Boddhisattva and his ways. So people greatly value his teachings. In a painting of the Buddhist monk, we can see his figure and holy spirit. We can read mentions about Wonhyo in the book, Donggukyisanggukjip written by Lee Gyu-bo(1168-1241) during Koryo dynasty(918~1392). Unfortunately we can not know exactly what he looked like because there is no portrait of him. Fortunately, the oldest portrait of Wonhyo still remains in the Gosansa Temple in Kyoto, Japan so we could see Wonhyo’s image in original picture. 600 hundred years ago, this original portrait of Wonhyo was copied and the copy still remains intact. Thus in Korea, and outside of Korea, there is a lot of value in studying Wonhyo and art history. The paintings also has great value in its influence on style, material and the restoration of a cultural asset greatly as a relic. For this study, we(me and other professors and artists) visited the Gosansa Temple. We wanted to study this portrait carefully. After watching and studying this painting and a copy was made and kept in Korea permanently. But this kind of copying procedure is very difficult so it was necessary to be supported at the national level. Finally Gyungju National Museum paid for this. Now the copy of Wonhyo’s portrait which was painted by me is exhibited in Gyungju National Museum and is possessed by this museum. The sole copy of Wonhyo’s portrait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place i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