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의 저서『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1955)을 중심으로 종교와 예술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은 종교철학자이면서「민예(民藝)」운동가인 야나기가 정토종사상을 중심으로 민중신앙에서 볼 수 있는종교와 예술의 접점을 종합적으로 집약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분석은일본의 민중신앙인 정토종사상을 중심으로 민중의 생활양식에서 보여진 종교와 예술의 특징을 통해 오늘날의 아시아가 당면하고 있는 종교문화 일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에서는 야나기가 제시한 정토종사상의 특징으로, 먼저『무량수경(無量壽􄤊)』의 본원사상을 통해 종교와 예술이 근원적으로만나는 접점을 제시하였다. 다음에는 그러한 원리에 바탕 한 종교와 예술을 표현할 수 있는 행위로써의 명호론(名論)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이어서 종교와 예술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실체로써의 야나기가 제시한「묘꼬우닝(妙好人)」과「민예품」의 비교, 그리고 이러한 생활이 구현되는 속에서 표현되는「미의 정토」세계를 비전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beauty as seen in Yanagi Muneyoshi’s Namu-amidabutsu. In this book Yanagi is concerned with philosophies of religion and the“ folk craft”movement, a movement he initiated and whose source lies in Jo - do Buddhist thought. Specifically, he integrates, and thereby finds common ground between, philosophies of religion and conceptions of beauty as reflected in the“ folk craft”movement. Keeping such integration in mind, the fundamental problematic of this paper is how Yanagi, upon attaining a certain level of awareness of religion, was able to develop his principles of beauty. First, by considering the fundamental underlying messages of“ The (Longer)Amita-bha Sutra,”this paper examines Yanagi’s demonstration of how belief and beauty are related at their very root. It the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ting the Buddha’s name and “true work,”a relationship that ultimately makes possible the integration of religion and beauty. Finally, it concludes by revealing how Yanagi, in writing Namu-amidabutsu, proposes that by means of three concrete and visible elements-belief as it is seen acted out in reality, beauty as seen in myo-ko-nin, and folk craft goods-religious awareness is transmit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