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 식민지통치는 한민족을 자주·자립능력이 없는 주권포기가 불가피한 민족임을 전제로, 보호를 통해 일본인과 같은 능력을 갖추도록하여 내선일치를 이뤄 쓸모 있는 충량한 황민이 되도록한다는 것으로정당화했다. 본고는 이런 민족정체성위기에 대응하려는 것이 민족운동으로 이 민족운동에 종교종교는 언제나 황국 신민으로서의 국민을교화하는 기능에 치중하도록 그 활동이 제한된 사회단체여야 했음을주목하여 다루고 있다. 이른바 무단통치는, 한민족을 자연권조차 누릴능력이 없어 보호와 통제라는 차별적 조치를 받아야할 민족으로 다뤘다. 개신교는 민족계몽운동이나 대부흥운동과 같은 활동을 통해 이를극복하고자 했다. 3.1운동은, 일본의 국내 정세변화와 맞물려 총독부의 통치방식을 문화정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이 문화정치도 일본천황의 일시동인적 평등정책에 따른 것임을 강조하면서, 민족내 분열을 통한 지배로 전환된 것일 뿐이었다. 중일전쟁 이후에 일제의 식민지정책은 한마디로 민족 말살정책이었다. 그런 까닭에 일제하에서 한민족의 자존적인 민족운동은 예외 없이 국외거주 한인들의 몫이었고, 국내종교단체는 사회단체로서의 생존을 걱정하면서 일제 말기에 갈수록민족운동의 맥락과 거리를 두는 상황 속에 머물러야 했다.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adhering to racism had justified their colonial rule, stating the Korean people who couldn’t really help themselves had to be protected and under the ward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 So the Japanese colonialism in the Korea tore down our racial boast and meant the crisis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 This article focused on how the religious body would respond to those situations.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onsistently forced conscientization and socialization and Japanezation on the Korean people in the name of the abolition of discrimination by Royal favor and social system reform putting forward the claim of the unification of Japan and Korea. In its course The religious bodies in Korea had to be mobilized for edifying the koreans to be loyal and honest subjects to the Japanese emperor system. So called‘ socialization of religion’is nothing more or less than the implement a strategy of calling to religionists to edify the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