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강점기 한국불교는 불교의 전통성과 가치를 회복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근대라는 시점에서 불교개혁을 진행해야했고, 교단을 비롯한 불교계의 현안을 체계화시켜야 했다. 일제강점기 불교계 지성들의 불교사 연구는 이와 같은 명실상부한 배경 속에서 진행되었다. 불교는 수용이후부터 한국의 역사적 상황과 함께 운명을 같이 했다. 당시의 지성들은 한국불교사 연구를 통해 불교수용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주목하였다. 예컨대 한국인의 생활, 사상, 문명의 변화와 발달에는 반드시 불교가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한국불교는 인도와 중국불교를 집대성했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와는다른 역사적 전개를 통해 그 정체성과 독자성을 선명히 하고 있음도 소개하였다. 이밖에불교는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상황에 대해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했던 한국문화와문명이 지닌 정체성과 우월성을 강조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결국 일제강점기 지성들은 한국불교사 연구를 통해 불교계의 현안뿐만 아니라 당면하고 있는 민족의 암울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로 활용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Korean Buddhism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was facing a mission of restoring the traditionality and value of Buddhism. It had to proceed on Buddhism reformation amid the modernization process, while systematizing the pending issues of Buddhist world including the religious body. The intellectuals in Buddhist wor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ruly worked on Buddhist history research in this background. Buddhism shared its fate with the Korean historical situation ever since its acceptance. The intellectuals at the time focused on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their Korean Buddhist history research. For example, they emphasized the fact that Buddhism established itself in every change of life, ideology and civilization of Koreans. Moreover, they introduced that the Korean Buddhism did not only compile the Indian and Chinese Buddhism, but also clarified its identity and independence with a different historical development from the two countries. Additionally, Buddhism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of stressing the identity and superiority of Korean culture and civilization, as was argued by the nationalists in this dark age of Japanese colonial era. On balance,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ttempted to overcome gloomy situation of the people as well as solve pending issues of Buddhist world by making use of historical studies in Korean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