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가철학에서는 인간욕망에 대한 자율적인 수양과 절제가 개인의 인격완성과 사회질서 확립, 국가 번영의 근본임을 강조한다. 이것은 ‘수신⋅제가⋅치국⋅평천하’ 관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을 음주문화에 적용하면, 술은 인간의 욕망이 집약된 대상이며, 음주는 타인과 즐거움을 공유⋅화합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그러나 음주행위는 개인의 절제⋅조절능력에 따라 그 결과가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음주행위의 결과를 개인수양의 중요한 판단근거로 생각해 왔다. 본 논문은 시경과 서경에 나타난 고대의 음주문화를 검토하고, 두 고전에 나타난 ‘술 이야기’를 통해 동양 음주문화의 기원과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현대 한국사회의 음주문화에 대해반성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음주문화 정립을 위해 과연 어떤 방안과 모색이 가능한 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Confucian philosophy, self-discipline and temperance are the pillarsof good character, social order, and national prosperity. This theory resonates withthe famous Confucius quote that “the strength of a nation derives from the integrityof home.” When applying this concept to the drinking culture, drinks areamalgamation of human desires and drinking itself is a good opportunity to socializeand mingle with other people. However, drinking may have different effects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level of temperance and self-control. Eastern culturetraditionally has viewed drinking effect as an import measuring stick ofself-discipline. This paper examines drinking culture of the ancient times describedin The Book of Odes(詩經) and The Classic of Documents(書經). Based ondescriptions of drinking stories in the two classics, the paper explores origin andhistorical transitions of the drinking culture. Moreover, reflecting on the modernKorean drinking culture, this paper also proposes affirmative strategies forestablishing a healthy drinking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