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간재 전우의 논어설을 분석 검토한 것이다. 간재 경학사상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후대에 있어서 經學과 性理學이 별개의 것인 것처럼 되어 한쪽에 치우쳐 버린 경우가 있으나(淸代의 考證學) 간재에 있어서는 경전연구와 성리설 탐구가 별개의 것이 아닌 一而二, 二而一의 불가분의 관계로서 파악된다는 점이다. 다만 경학과 성리학이 둘 다 중요하게 인식되고는 있으나 특히 간재에 있어서는 성리설로써 경전을 해석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로는 광범위한 자료의 섭렵을 통한 전거의 해박성이다. 셋째로는 인용 유학자(서적)의 광범성이다. 우리나라 유학자의 경전해석을 인용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중국의 경전관련 諸書, 청유의 경전에 대한 견해를 인용한 것은 물론 당시에 가장 이적시하던 일본인 저술까지도 인용한 점이다. 넷째로는 주자설을 『혹문』과 『어류』를 자주 대비하여 初年 未定論과 晩年 定論으로 구분하여 적절하게 자기학설의 이론 근거로서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다섯째로는 體認이 중요함을 강조한 점이다. 여섯째로는 자신의 견해로써 경전에 새로이 문장을 補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일곱째로는 先儒說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퇴계설, 『율곡언해』, 官本諺解는 물론 尤菴설에도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고 있으며, 小註는 물론 심지어는 주자설의 오류도 지적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덟째로는 경전해석에 있어서 대화의 장을 마련한 점이다. 간재는 심증이 가지만 자신이 확신할 수 없을 경우에는 ‘마땅히 질문하기를 기다린다’하여 의견 개진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Gan Jae Jeon Woo's theory on NonEo. The features of Gan Jae's idea on GyeongHak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Gan Jae understood that study on scriptures and research on Sung Confucianism theory we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he understood them to be indivisibly related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only one but also two while they were not only two but also one. Second, he showed a wide range of reasons by reading a variety of data. Third, he referred to a wide range of Confucian scholars (books). Fourth, he frequently compared 'HokMun' and 'EoRyu' to divide Juja's theory into the theory of early age and theory of late age and then used them properly for his theoretical reason. Fifth, he emphasized that Mastering was important. Sixth, he added new sentences made of his own idea to scriptures. Seventh, he criticized his senior Confucian scholars' theories also. Eighth, he made a field of conversation for translation of scriptures.


This study is to analyze Gan Jae Jeon Woo's theory on NonEo. The features of Gan Jae's idea on GyeongHak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Gan Jae understood that study on scriptures and research on Sung Confucianism theory we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he understood them to be indivisibly related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only one but also two while they were not only two but also one. Second, he showed a wide range of reasons by reading a variety of data. Third, he referred to a wide range of Confucian scholars (books). Fourth, he frequently compared 'HokMun' and 'EoRyu' to divide Juja's theory into the theory of early age and theory of late age and then used them properly for his theoretical reason. Fifth, he emphasized that Mastering was important. Sixth, he added new sentences made of his own idea to scriptures. Seventh, he criticized his senior Confucian scholars' theories also. Eighth, he made a field of conversation for translation of scrip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