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려 말 조선 초기라는 시대전환기에 고뇌의 삶을 살아간 정도전의 창업론과 사상적 위상을 탐구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정도전은 당시 석학들과 활발하게 교유하여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였으며, 항상 후진을 가르치고 이단을 물리치는 것으로 자기 책임을 삼았다. 그러나 왕조교체기를 맞이하여 이들은 서로 다른 길을 걸음으로써 결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정도전은 고려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사회변혁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조선 건국을 정당화하는 창업론을 강력하게 표명하며 그 이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도전은 무엇보다 제도개혁의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둠으로써 현실지향적인 사유방식을 견지하였다. 국가체제의 변혁기를 맞이하여 사회개혁을 완수하고자 한 정도전의 경세적 업적은 재조명될 필요가 있으며, 한국사상사에서 그에 대한 후세인들의 평가는 대체로 양면적으로 전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theory of founding a new nation advocated by Jeong Do-jeon who lived with hard thoughts of the transition era late in Goryeo and early in Joseon and its position on ideological history. He communicated much with the great scholars then to deeply understand the Neo-Confucianism and placed his responsibility on always teaching his followers and defeating heretic. Fac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a dynasty to another dynasty, he went his wa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eat scholars he used to communicate with. He denied the legitimacy of Goryeo to reform the society and strongly advocated his idea for founding a new nation to justify the founding of Joseon, trying to establish such idea as a theory. He paid attention most onto the issue of social systematical reform, so that he could keep such reality-focused thinking way. His political work to complete the social reform facing the transition period of national system needs to be reevaluated. In general, he has been assessed in binary aspects in Korean ideologic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