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本文所討論的基本圖樣是如下: 程頤的「理一分殊」倫理學命題, 到了朱熹再構成為一種形上學命題。 「理一分殊」是程頤解釋張載≪西銘≫時所提到的倫理命題, ≪西銘≫的倫理觀與程頤的觀點也一致, 則程頤所發揮的「理一分殊」明確是一種倫理學的命題。 他至少「分殊」命題來並沒有建立任何形上學, 因此對於形上學的系統而言, 程頤的「理一分殊」倫理命題還沒那麽完整且孕育限制。 即說, 程頤的「理一分殊」雖強調道德原理之「理」存在於日常生活中每個事情上, 但還是潛在了先天的、永恒不變的「理」與物質界之間的隔離。 在此, 如何保證人以外的事物中存在先天的「理」? 這就是如上所說的「限制」。朱熹克服了此限制, 而且以「理一分殊」命題來堅強了「理氣不離不雜」的形上學。 其過程當中, 北宋當時一般認爲來自於道教以及一種「氣」概念的「太極」, 朱熹十分使用此「太極」而以「理一分殊」作爲形上學命題。 具體而言, 朱熹所做的理論工作就是「太極」的價值化, 其主要内容大概分成兩個: 第一、對於「太極」, 加以「無極」義為提升到「理」的地位而跟「理」做同等對待; 第二、對於「理一分殊」, 「統體太極」與「個具太極」來堅持「實然」與「應然」的同時性, 這就是朱熹所主張的「理氣不離不雜」形上學之精華以及歸宿點。



본고가 논하고자 하는 기본 도식은 다음과 같다. 윤리학적 명제인 정이의 리일분수는 주희에 이르러 다시 형상학적 명제로 구성되었다. 리일분수는 본래 정이가 장재의 서명을 해석할 때 언급한 윤리명제로서, 서명 중의 윤리관과 정이의 관점 또한 일치한다. 즉 정이가 발전시킨 리일분수는 확실한 윤리학적 명제이다. 그는 최소한 분수 명제로써는 어떠한 형상학도 세우지 않았는데, 따라서 형상학의 체계로 말하자면 정이의 리일분수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으며 일종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즉, 정이의 리일분수는 도덕원리로서의 리가 일상생활 중 모든 일에 존재해 있다고 강조했지만, 선천적이며 영원불변한 리와 물질계 사이의 거리는 여전히 잠재되어 있다. 여기서 인간 이외의 물질에 있어 어떻게 선천적 리를 증명할 것인가? 이것이 위에서 말한 한계이다. 주희는 이 한계를 극복하고 리일분수명제로써 리기불리불잡의 형상학을 공고히 하였다. 그 과정 중, 주희는 북송당시 일반적으로 도교에서 왔으며 일종의 기개념으로써 여겨졌던 태극을 충분히 사용하여 리일분수를 형상학명제로 만들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주희가 진행한 이론작업은 태극의 가치화로서 그 주요내용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태극에 무극의 의미를 더함으로써 리와 같은 지위로 끌어올려 본체의 리와 동일시하였다. 둘째, 리일분수에 대해서는 통체태극과 각구태극으로써 사실과 당위의 동일성을 견지하였는데, 이것은 바로 리기불리불잡 형상학의 핵심이며 귀결점이다.